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

 1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1
 2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2
 3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3
 4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4
 5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5
 6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6
 7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하운(韓何雲) -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하운(韓何雲)
1. 생애(1919-1975)
한하운은 1919년 2월 24일, 함경남도 함주군 동촌면 쌍봉리에서 한종규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태영(泰英)이었다. 그의 집안은 3대
가 과거에 급제한 권문세가로 그 지방의 지주였다. 이러한 그의 집안에서는
하운을 공부시키기 위해 1925년(7세) 함흥으로 이사하였다. 이듬해 그는 함
흥 제일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줄곧 우등생이었으며, 음악과 미술에도 뛰
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러나 1927년(9세) 봄, 몸이 붓기 시작해 아버지와 함
께 한 달 남짓 온천 등지를 다니며 요양생활을 한다.
그는 1932년(14세) 함흥 제일공립보통학교 6년 과정을 졸업하고 전북 이리
(裡里) 농림학교 수의축산과에 입학하였다. 1934년(16세)무렵, 많은 문학작
품을 읽으면서 시와 소설을 습작하였고, R이라는 여학생도 만났다. 1936년(18세) 몸 곳곳의 말초부에 콩알 같은 결절(結節)이 생기고 궤양이 끝없이 퍼져 나가서, 여기저기에서 진찰을 받다가 성대부속병원(현 서울대 부속병원)에서 나병으로 확정 진단을 받게 된다. 1937년(19세) 전북 이리농림학교를 졸업하고, 1939년(21세) 2월,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의 성계고등학교에 입학하였지만, 다시 병세가 악화되어 귀국하여 고향에서 요양하였다. 1941년(23세) 북경대학 농학원 축목학계에 입학했고, 1943년(25세) 라는 논문을 제출하고 졸업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환부는 겉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귀국하여 곧바로 함경남도 도청 축산과에 취직하였고, 그 해 가을, 경기도 용인군으로 전근해 갔다.
1945년(27세) 봄, 나병이 악화되어 공직을 사직하고 함흥시 중앙동으로 돌아오고, 본명 한태영을 한하운으로 개명하였다. 8.15해방 직후 공산당으로부터 가산을 몰수당하여, 생계 수단으로 동생과 함께 노점에서 책장사를 하였다. 1946년(28세) 3월, 함흥 학생데모사건으로 소련군에게 체포되어 함흥 형무소에 수검되었다가 풀려나고, 그 해 여름 어머니께서 사망하였다. 1947년(29세) 5월 동생이 주도한 북한 전복사건으로 체포되어 원산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다가 탈출, 월남하였다. 그리운 동생과 R을 만나기 위해 고달픈 유랑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갔지만 그곳의 억압과 감시를 견디다 못해 다시 월남하여 전국 각지를 홀로 유랑하고 병고와 싸우면서 시작에 몰두하게 된다.
1949년(31세) 4월, ≪신천지≫에 ‘나시인 한하운 시초’란 제목으로 13편의 시작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하게 되며, 5월 시 26편을 묶어 정음사에서 첫시집 『한하운 시초』간행하였다. 그 후 1955년(37세) 제2시집 『보리 피리』를, 1956년(38세)에는 『한하운시선집』, 1957년(39세) 10월에 자서전 『나의 슬픈 반생기』를 인간사에서 간행하였다.
1959(41세)에 그의 나병이 음성으로 진단받아 사회에 복귀하고, 1960년(42세) 7월 ‘무하문화사’를 명동에 설립하여 문학지망생과 문우들이 많이 출입하였다. 이 때 자작시 해설집 『황토길』도 간행하였다.
위와 같은 문단활동 외에도, 그는 월남 후 자신의 투병 생활과 함께 1950년(32세) 성혜원, 1952년(34세) 신명보육원 등을 설립, 운영하였고, 1954년(36세) 대한 한센연맹위원장으로 취임하여 나환자 구제사업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67년(49세) 간경화증이 발병하여, 1975년(57세) 2월 28일 인천시 십정동에서 간경화증으로 사망하였다. 그 후, 1977년 유고시 외 19편이 ≪한국문학≫ 6월호에 발표되었다.
2. 시적 경향과 주요 작품
1) 초기 - 육신의 파편화와 슬픈 문둥이
한하운의 초기시는 나병으로 육신이 문드러져 나가는 아픔과 슬픔의 감정을 다루고 있다. 그것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비극적인 인식이자 그렇게 느끼게 한 사회에 대한 일종의 울분의 토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비극적인 인식은 자신의 삶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 그리고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비극적인 인식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인식을 통해 한하운은 자신이 몹쓸 병에 걸려 내쳐진 문둥이이기 이전에 한 명의 인간임을 자각하고 주장하게 된다.
아래의 시 , , 에서는 육신이 해체되어 떨어지는 과정을 아주 담담한 어조로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