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

 1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1
 2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2
 3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3
 4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4
 5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5
 6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6
 7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
- 단군신화와 박씨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본론
1) 적강모티프
2) 변신모티프와 동굴모티프의 원형
3) 광명의 상징성
4) ‘3’의 원형적 고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박씨전≫이라 하면 우리가 중, 고등학교 시절 문학시간에 배워서 익히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박씨전≫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는 반침략 애국을 주제로 하는 작가미상의 작품이다. 또한 ≪박씨전≫은 재덕을 겸비한 박씨부인의 비범한 활약상을 다룬 한글소설이면서, 병자호란이라는 실재하는 역사와 임경업, 이시백이라는 실존 인물이 등장하는 역사소설이자 군담소설이다. 이러한 ≪박씨전≫은 당시의 다른 소설들과는 달리 특이한 점을 지니고 있다. ≪박씨전≫에서 박씨부인은 국란의 위기에서 나라를 구한다는 영웅적인 면보를 보여주므로 영웅소설로 분류할 수 있는데, ≪박씨전≫은 영웅소설 중에서도 여성이 주인공이 되는 여성영웅소설이다. 당시의 시대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아무리 개방이 되었다 한들,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고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남자들은 그들의 실제 업적과는 다르게 나약하고 무능한 존재로 치부한 것은 파격적인 일이다. 즉, ≪박씨전≫에서 주인공인 박씨부인은 남성들이 가지지 못한 비범한 능력을 가지고 있고 남성들이 해내지 못한 일들을 자신의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처리함으로써 남성보다 더 우월한 지위를 가지게 된다. 이렇듯 ≪박씨전≫은 역사적 실존 인물과 허구적 실존 인물인 박씨가 등장하여 전쟁이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여 당시 소설들과는 또 다른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박씨전≫의 현재 전하는 이본은 활자본과 필사본으로 70종이 넘게 보고 되고 있다. 이정미, 박씨전의 서지적 고찰,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93. 강민, 2쪽에서 재인용.
한 작품이 70여 종이 넘는 이본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고전소설 작품의 이본 수효로서, ≪춘향전≫과 ≪구운몽≫에 이어 가장 많은 수에 달하는 것으로, ≪박씨전≫의 인기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장효현, ≪박씨전≫의 제특성과 형성배경, 한국고전소설 연구, 고려대 출판부, 2002, 183쪽.
강민, 2쪽에서 재인용.
그렇다면 이처럼 많은 인기를 얻은 ≪박씨전≫은 누가 썼고, 언제 쓰여진 작품일까? ≪박씨전≫은 모두가 알고 있다시피 작가 미상의 작품이다. 그러나 ≪박씨전≫이 쓰여진 시기는 ≪박씨전≫의 내용을 통해 짐작할 수 있는데, 인조와 남한산성, 청나라의 침입 등이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병자호란이 끝난 17세기 중엽이나 후반부에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즉, ≪박씨전≫은 박씨라는 인물을 내세워 17세기 인조 때 청의 침략에 대한 역사적인 내용을 소설화 한 것이다.
≪박씨전≫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해 보면 작품 안에 여러 모티프와 상징들이 숨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박씨전≫속에 숨어 있는 여러 모티프와 상징들의 원천은 무엇일까? ≪박씨전≫속에 숨어 있는 여러 모티프와 상징들은 ≪단군신화≫에 있는 그것과 매우 흡사하다. 이로보아, ≪박씨전≫의 원천은 국조신화(단군신화)에서 연원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윤경수, ≪조선조 소설의 신화적 분석≫, 태학사, 1998, 546쪽.
따라서 필자는 이 보고서를 통해 ≪단군신화≫를 ≪박씨전≫의 원천으로 보는 까닭이 무엇이며 이와 더불어 ≪단군신화≫와 ≪박씨전≫이 어떤 측면에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