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

 1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1
 2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2
 3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3
 4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4
 5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5
 6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6
 7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7
 8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8
 9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9
 10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10
 11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11
 12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12
 13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13
 14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14
 15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한(恨)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閑中錄)
믿을 수 있는 화자(reliable naator)와 믿을 수 없는 화자(unreliable naator)
ㅡ‘작가’와 ‘내포작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목차 *
Ⅰ. 머리말 ㅡ 한중록의 문학적 가치와 논의할 방향
Ⅱ. 제 1장 ㅡ 작가와 작품의 배경소개
1. 조선조 여성작가 ‘혜경궁 홍씨’
2. 작품의 역사적 배경
Ⅲ. 제 2장 ㅡ 작품 ‘한중록’ 분석
1. 한중록(恨中錄)의 구조
2. 주변인물과의 갈등 유형 분석
3. 내포작가의 목소리 (윤리관, 가치관)
1) 사도세자는 정신병자?
2) 벽파도 나쁘고 시파도 나쁘다?
3) 친정아버지만이 옳다?
4) 화협옹주는 미워했고 화평옹주만 사랑했다?
4.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양면성(兩面性)
Ⅵ. 맺음말 ㅡ 한중록,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Ⅰ. 머리말 ㅡ 한중록의 문학적 가치와 논의할 방향
혜경궁 홍씨의 저서 《한중록(閑中錄)》은 혜경궁 홍씨가 회갑이 되던 해부터 네 차례에 걸쳐 쓴 회고록으로, 모두 네 편으로 되어 있다. 은 피눈물의 기록이라는 뜻의 또는 이라고도 불린다. 필사본 14종이 있으며, 국문본 · 한문본 · 국한문혼용본 등이 있다. 제1편은 작자의 회갑이 되던 해에 친정 조카의 요청으로 쓰여 졌고, 나머지 세 편은 아들 정조가 죽고 난 뒤 1801년(순조1) ∼ 1805(순조5) 사이에 쓰여 졌다.
한중록의 한자를 한문으로 읽어보면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연히 한탄할 한恨 이라고 생각하고 ‘한을 가지고 쓴 책이다.’ 라고 알고 있지만 이것은 사실이아니다. 막을 한閑 이라는 자를 사용하며(閑中錄) 이 책에 붙은 제목은 한가한 날의 기록이라는 뜻의 이었다.피눈물의 기록과 한가한 날의 기록. 그 제목의 극단적 차이만큼이나 내용도 우리가 흔히 생각하고 있던 것과는 많이 달랐다. 은 혜경궁 홍씨가 남편인 사도세자의 죽음을 중심으로 자신의 한 많은 일생을 기록한 책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 글은 단순히 자기 고백적인 회상록이 아니다. 특이한 점은 바로 임오화변(壬午禍變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해 자신의 친정에 유리한 정치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는 것이다.
이 지니는 작품의 문학적 특질은 매우 독특하다. 이 책의 저자는 세자빈이라는 높은 지위에 있던 여성이라는 사실에 그 특수성이 인정된다. 「여자의 無學은 오히려 덕이 된다」는 송유의 속설처럼 여성의 교육의 균등을 저해하고, 간혹 재주 있는 여성들이 글을 쓴다 하더라도 가문의 밖으로 내어가지 못하게 하던 시대적 특성상 여성 문학이 인위적으로 도태를 면치 못해 찾아보기 힘든 여류문학의 유산이란 점이다.
또한「한중록」의 귀중성은 고어와 궁중용어의 보유이다. 어휘의 선택과 문장의 표현에서도 고상하고 우아한 면을 엿볼 수 있고 중세어로서 이미 자취를 감춘 고어라든가 음운의 변화, 특수한 궁중용어 등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그 가치가 더 빛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4대에 이르는 장구한 역사를 골간으로 하여 임오화변과 자신의 친정을 둘러싼 시파와의 당파싸움까지 그 내력을 소상히 기술함으로써 정계야화로서도 중시되고 있으며, 또한 얼마 되지 않는 우리 순수 국문학이라는 점, 그리고 와 함께 우리나라 궁중 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한중록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점은 바로 물 흘러가듯, 이야기하듯, 서두서부터 아무 꾸밈없이 독자를 놓지 않는 매력에 있다. 특히 인물묘사에 있어서 영조와 사도세자 부자지간의 성격적 특징의 부각을 매우 적나라하고 섬세하게 표현하여 사건의 배후에 자리 잡고 있는 이질적인 성격 갈등의 표출을 예리하게 서술한 점이 가장 인상 깊었다. 이점이 바로 작자가 독자에게 많은 호소력과 감동을 주었다. 그러니 후세 사람들이 그 한 서린 여인의 주장을 진솔하게 받아들인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하지만 그런 만큼 어쩌면 내용과 진실 사이의 거리도 먼 것은 아닐까?
한중록은 장르 설정 문제에 있어서 수필이다 소설이다 논란이 많았다. 또한 역사적 사실을 다뤘기 때문에 논픽션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가 일어나게 된 원인인 작가와 내포작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저자와 화자(내포작가)의 거리가 좁을수록 ‘나’는 극화되지 않은 화자이고 후자는 극화된 화자이다. 일반적인 소설이 저자와 화자의 언어가 갈라진 ‘갈림 언어’라면 한중록(閑中錄)의 경우 ‘나’의 음성이 곧 저자의 것이다. 독자는 일치하는 경우 그대로 서술을 따라가게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두 사람의 틈새를 비집고 들어가 의미를 합성해내게 된다. 저자가 화자의 음성을 자신과 일치시키는가, 놓아주고 비판적 시선으로 보는가에 따라 극적인 효과가 달라진다. 권택영, , 문예출판사, 1995, p189
따라서 본고에서는 혜경궁 홍씨가 내포 작가로서 작품에 어떠한 목소리를 드러내는지 알아보고 등장인물을 그렇게 묘사한 의도와 효과를 분석하고 비평해 보도록 하겠다. 또한 작가가 사건에 대해 바라보는 어조와 시각, 우리에게 전해주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이 작품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 논의하며 마치도록 하겠다.
Ⅱ. 제 1장 ㅡ 작가와 작품, 배경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