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

 1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1
 2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2
 3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3
 4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4
 5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5
 6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6
 7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수레제도車制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레제도(車制)』
※ 목 차 ※
Ⅰ. 서 론
작 가 소 개
Ⅱ. 본 론
원문 및 해석문
작품 요약
작품 이해와 감상
Ⅲ. 결 론
패러디
◎참고문헌
Ⅰ. 서 론
1. 작 가 소 개
연암(岩燕) 박지원(朴趾源 1737~1805)
이조 정조 때 실학파이자 이용후생을 강조한 북학파의 거두. 1737년(영조 13년) 2월 5일 한양에서 박씨(朴氏) 사유(師愈)의 2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박지원의 자(字)는 중미(仲美)요, 호(號)는 연암(岩燕)이고 또 별호를 미재(美齎), 총계(叢桂), 계산(桂山)으로도 썼다. 연암의 집안은 대대로 벼슬이 높던 명문대가로 선조들 대대로 대사헌, 판서, 참판 등의 관직을 지낸 가문이었다. 그의 조부 박필균은 관찰사, 대사간, 지동녕부사까지 오른 인물로 연암을 직접 임지로 데리고 다니면서 가르쳤다. 그는 자라면서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등과 함께 지내면서 실학에 몰두하였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지만 늦은 나이에 선공감감역을 시작으로 벼슬살이를 시작하였고 69세 때인 1805년 10월 20일 서울 가회방(嘉會坊) 재동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연암의 대표작으로는 『열하일기』,『연암집』,『허생전』,『양반전』등이 있다.
-연 보-
1752년 16세
이보천(李輔天)의 딸과 혼인하고 장인에게서 맹자를 강의받았다. 이어서 연암은 그의 처삼촌인 이익(李瀷)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던 홍문관교리 였었던 이양천에게 글을 배우며 이 때 주로 실학을 공부했다. 이양천에게서 사기를 배우면서 특히『신능군전(信凌君傳)』을 배우면서 이것이 연암이 소설을 쓰는데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 때에「이충무공전」을 지었다.
1755년 19세
연암이 19세 때 처삼촌 이양천이 귀양에서 풀려난 후 바로 사망하자 그의 정신적 방황이 시작되었다. 이 때 『마장전』(馬傳)과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을 지었다. 20세가 되던 해 봉원사에 들어가 독서하면서 허생의 이야기를 들었고, 이것은 장차 『허생전』을 쓰게 된 모티브가 되었다
1757~58년 21-22세
『민옹전』(閔翁傳)을 지었고, 『대은암창수시』(大隱岩唱酬詩)의 서문을 썼다.
1760년 24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