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

 1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
 2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2
 3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3
 4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4
 5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5
 6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6
 7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7
 8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8
 9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9
 10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0
 11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1
 12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2
 13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3
 14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4
 15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5
 16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6
 17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7
 18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8
 19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19
 20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목: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수행평가
목 차
I. 들어가면서 1
II. 수행평가란? 2
1. 수행평가의 이해 2
2. 수행평가의 추진 배경 3
III.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방법 4
IV. 수행평가의 시행방법 및 절차 6
1. 수행평가의 시행 방법 6
2. 수행평가 계획 8
3. 수행평가 기준안에 의한 평가도구개발 9
V. 시행과정에서의 수행평가의 문제점 12
1. 학생 학부모가 제시하는 문제점 12
2. 교사가 제시하는 문제점 15
3. 기타 문제점 18
Ⅵ. 수행평가의 개선 방향 20
Ⅶ. 수행평가 적용의 실제(초등학교 수학) 23
1. 수학과 수행평가의 방향 23
2. 수학과 수행평가 문항(3학년 가단계를 중심으로) 24
Ⅷ. 나오면서 30
참고문헌 31
I. 들어가면서
새 천년이 열린지, 벌써 2 년이 지났다. 또한,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월드컵 열기가 달아오는 가운데, 미래에 다가올 새로운 세상에 대한 밝은 나날을 생각하며, 온 국민이 마음을 한데 모아 다같이 “필승, 코리아”, “대~한민국”을 열렬히 외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새싹들을 위해 시시각각 변하하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도모하기 위해 ‘학습자를 중심에 둔 교육과정’이 시작되었으며, 그것이 바로 제 7차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새로운 시대에 전개 될 교육의 설계도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와 역사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과거의 교육문제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는데, 그중의 하나가 “수행평가”라 할 수 있다.
이는 학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수행평가를 확대 실시하자는 것이다. 즉, 학생들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선택형(객관식) 시험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선택형(객관식) 시험뿐만 아니라 서술형이나 논술형, 실기시험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수행평가를 학교 현장에 착근 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혼란과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수행평가의 개념 형성이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 전 교과 전 영역의 학습 과정에서 수행평가의 실시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며, 평가자 주관이 많이 개입되고, 수행평가 결과 처리에 객관성과 신뢰성의 확보가 어렵다. 또한 다인 수 학급에서 담임중심, 학습과정 중심 평가체제로 전환되면서 수행평가 계획 및 결과 처리의 업무 등의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며, 수행평가 실시에 있어서 수행평가를 보는 견해의 차이, 평가 문항의 급조로 인한 평가문항의 타당도 결여, 평가의 편이성으로 교과별 고정된 횟수의 평가 실시로 인한 신뢰도의 결여, 평가횟수 증가에 따른 평가시간 확보의 어려움과 평가문항의 질 관리 및 실시에 따른 시간의 부족 등의 문제점과 평가결과의 처리 면에서, 평가결과 기록의 기술평가는 아동 개개인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10개 교과를 가르쳐야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는 업무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을 생각해 볼 때, 수행평가를 다시 한 번 뒤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필자에게 이번 과제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수행평가의 개념과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수행평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를 모색해보는 동시에 이에 따른 “개선방향”을 참고문헌과 현장에 근무하면서 느끼게 된 것을 토대로 서술해 보려고 한다.
II. 수행평가란?
1. 수행평가의 이해
가. 수행 평가의 정의
일반적으로 수행(performance)이란 구체적인 상황 하에서 실제로 행동을 하는 과정(process)이나 그 결과(product)를 의미한다(국립교육평가원, 1996).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평가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하고자 하는 수행평가를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knowledge)이나 기능(skill)을 나타낼 수 있도록 산출물을 만들거나, 행동으로 나타내거나 답을 작성(구성)하도록 요구하는 평가 방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나. 수행평가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