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고체시의 이해

 1  인문과학 고체시의 이해-1
 2  인문과학 고체시의 이해-2
 3  인문과학 고체시의 이해-3
 4  인문과학 고체시의 이해-4
 5  인문과학 고체시의 이해-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고체시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체시의 이해
古體詩의 유래와 함의(含意)
중국의 詩는 周代 詩經 이후로 漢代에 이르기까지 침체기를 겪게 된다. 이는 秦의 분서갱유의 탓이 큰 이유라 보이며, 漢代에 이르러서야 漢武帝가 세운 음악 관서인 樂府를 근간으로 하여 詩經과 楚辭를 뒤이은 詩歌가 발전하게 된다. 이 시가들은 한대 4言詩, 5言詩, 7言詩로 일컬어지며 비교적 자유로운 장단구의 시풍을 보여주는데, 이후 南北朝代에 이르러 ‘古詩’ 또는 ‘古風’ 이라 명칭되었고 지금에 와서는 唐代 율시와 절구를 중시하였던 近體詩와 상반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 진다.
古體詩 의 함의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첫째로는 詩經, 楚辭까지 포함된 근체시 이전의 모든 시가. 둘째로는 詩經과 楚辭를 제외한 옛 가요와 兩漢. 魏晉南北朝. 隋의 모든 악부가사체. 셋째로는 近體詩 성립 이후의 근체의 규식에 맞지 않는 시들을 가리킨다.
이 중 두 번째가 가장 일반적 함의라 할 수 있다.
1. 악부시(樂府詩)
樂府詩의 형성과 발전
樂府란 본래 西漢 武帝가 설치한 음악관서로, 각 지방의 민가를 채집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는 시경의 뒤를 이은 것으로 채집된 민가들은 조정의 아악(雅樂)과 귀족 대가의 속악(俗樂)에도 영향을 끼치며 후세에까지 민가형식의 새로운 시가들을 창작케 하는 중국시 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이룩하게 한 것이다.
악부의 종합서로는 宋 곽무천(郭茂, 1084전후)의 『樂府詩集』 100권을 들 수가 있는데, 그는 여기서 악부시를 ①郊廟歌辭(교묘가사 12권) ②燕射歌辭(연사가사 3권) ③鼓吹曲辭(고취곡사 5권) ④橫吹曲辭(횡취곡사 5권) ⑤相和歌辭(상화가사 18권) ⑥淸商曲辭(청상곡사 8권) ⑦舞曲歌辭(무곡가사 5권) ⑧琴曲歌辭(금곡가사 4권) ⑨雜曲歌辭(잡곡가사 18권) 近代曲辭(근대곡사 4권) 雜謠歌辭(잡요가사 7권) 新樂府辭(신악부사 11권)의 12종으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이 중 고취곡사, 횡취곡사, 상화가사, 청상곡사, 잡곡가사를 문학사적 입장에서 가장 중히 여기는데, 이는 이 중 그나마 한대 악부고사와 민가풍의 작품들이 가장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애제(哀帝, B.C.7~B.C.1 재위)가 악부를 태악(太樂)으로 통합하기까지 악부가 100여년간 지속되어 오면서, 채집된 민가는 점차 다듬어지고 문인들의 악부시 모작(模作) 경향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모작 경향은 『문선(文選)』의 「古詩十九首」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또한 곽무천이 위의 다섯 종을 중히 여기는 이유 역시 모작 사이에서 진정한 한대 작품을 가려내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樂府詩의 내용
한대의 악부시는 시대에 따라 경향의 차를 보이는데, 방중사악(房中祀樂)),교사가(郊祀歌)와 같은 西漢의 악부시는 대체로 종묘가사나 천지를 제사지낼 때 쓰던 가사이고『시경』과 『초사』체를 아직 벗어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