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영화 철학 현상학과 서술학의 관점에서

 1  인문과학 영화 철학 현상학과 서술학의 관점에서-1
 2  인문과학 영화 철학 현상학과 서술학의 관점에서-2
 3  인문과학 영화 철학 현상학과 서술학의 관점에서-3
 4  인문과학 영화 철학 현상학과 서술학의 관점에서-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영화 철학 현상학과 서술학의 관점에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화 철학
-현상학과 서술학의 관점에서
1. 현상학과 다큐멘터리 영화
1)다큐멘터리 영화와 픽션영화
시네마적 이미지의 기능은 두 가지이다. 사진적 기능(the phtographic)과 허구적 기능(the fictional)이다. 다큐멘터리는 사진적 기능만을 수행하지만 픽션영화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다큐멘터리는 사실적인 것의 표상을 일차적 목표로 삼는 반면 픽션영화는 사실적인 것과 허구적인 것을 함께 표상하기 위해 사실적인 것의 표상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30분 분량의 평범한 휴일을 찍은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우린 때로 역사적 정보나 예기치 못한 사건의 정보를 얻기도 한다. 그러나 픽션영화에서 우리는 제작자가 의도한 것과 다른, 예기치 못한 사건을 발견할 수는 없다. 픽션영화는 허구적으로 만들려는 허구적의도(fictive intent)가 있을 때만 픽션영화로써 허구적 이야기를 보여 줄 수 있다.
2)다큐멘터리 문학과 다큐멘터리 영화
문학과 영화에는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한 사건에 관해 정보를 제공하려는 다큐멘터리 문학가가 있다면 그는 그가 아는 한 자세하게 그 사건들에 대해 기록할 것이다. 그러나 똑같은 목적을 가진 영화 제작자라면 그는 그 사건들을 필름에 담고 다큐멘터리의 형태로 그것을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그는 배우, 엑스트라, 무대장치를 조작하여 그 사건에 관해 만들어낸 표상을 필름에 담을 수도 있다. 정보를 전달하려는 목적은 전자의 경우에 더 잘 실현될 테지만 두 가지 모두 목적은 같다.
그러나 이 두 경우에서 영화 제작자가 우리에게 제공하는 표상들은 아주 상이할 수도 있다.
다큐멘터리인 전자의 경우는 사건 그 자체에 대한 표상을 제공한다. 후자의 경우 역시 똑같은 영상을 보여주지만 실제의 사건 대신에 영화의 배우와 무대에 우리를 연결한다. 영화는 그 사건을 표상한 배우와 무대장치 촬영한 표상적 이미지를 통해서 궁극적인 표상(의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전자의 경우는 사건과 카메라 사이에 인과적 표상(causal)이 적용되었다라고 하고 후자의 경우는 지향적 표상(intentional)이 적용되었다 한다.
그러나 다큐멘터리 문학 작가는 두 가지 중 오직 후자밖에는 선택할 수가 없다. 표기된 문학은 궁극적으로 하나의 지향적 표상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글쓰기과정이 사진적 표상에는 필요하지 않는 믿음에 의해 쓰여 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영화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고 문학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시각적 가상(픽션) (2)다큐멘터리 영화 (3) 다큐멘터리
(1)픽션 문학 (2) 다큐멘터리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