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

 1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1
 2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2
 3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3
 4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4
 5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5
 6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6
 7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鹿屯島)
▶▶들어가는 말
두만강 하류에 위치한 방천마을- 이 마을에서 연육된 녹둔도와 두만강 하구가 보인다.
둘레 약 8 km. 1800년대 이후 강 상류의 모래가 유속(流速)에 밀려 내려와 녹둔도와 그 대안(對岸) 사이에 퇴적하여 육지와 연결되었다. 현재의 상황은 알 수 없으나 1990년경에는 100호의 인가가 있어 벼 조 옥수수 보리 등이 재배되었고, 주변에서는 연어 붕어 황어 숭어 등이 주로 잡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세종 때 6진(鎭)을 개척한 이래 변방방위의 전초기지가 되어왔는데, 녹둔도 사건이라 하여 1587년(선조 20) 여진족의 습격을 받고 큰 피해를 당해, 당시 책임자였던 조산만호(造山萬戶) 이순신(李舜臣)이 그 책임을 지고 해임된 바 있다.
그 후 1860년 청(淸)나라와 러시아의 베이징조약 체결로 러시아 영토가 되어버린 것을 1889년(고종 26)에야 비로소 알고 청나라 측에 항의, 이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이어 1990년에는 직접 서울 주재 러시아 공사에게 섬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역시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1984년 11월 북한과 소련 당국자간에 평양에서 국경문제에 관한 회담을 열어 관심을 끌었으나 미해결인 채로 끝났다.
▶▶녹둔도 영속문제의 발단과 과정
-북경조약과 연해주 일원의 러시아 영속실황
녹둔도 영속문제의 발단은 1860년 청러 간에 맺은 북경조약에서 비롯되었다. 러시아는 청과 영국, 프랑스간의 화의를 중재한 대가로, 지난날 애-조약으로 청과 러시아가 공동관리 하기로 되어 있던 우수리 강 이동지역을 러시아가 단독 관할하게 됨으로써 시베리아 연해주일대가 러시아 영토로 되었다. 따라서 연해주에 있던 녹둔도의 영속시비가 발생하였다.
러시아의 동진정책은 17세기이래 집요하게 이루어져 오다가 북경조약 체결로 태평양 진출로를 확보, 이제까지 구라파 대륙국으로서 러시아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어 태평양의 출로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제관계의 변화는 자연히 우리나라 북방정책에도 이변을 초래하게 되었다. 즉, 이제까지 조선과 청나라, 러시아 등 3국간의 국경으로 형성되고 러시아의 태평양 지역 출구 확보에 따른 영국, 일본의 비상한 관심을 기울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두만강 하류 북변에는 러시아인의 발길이 잦아지면서 조선과 수교를 강요하는 러시아인들의 동해출몰이 빈번해 민심을 소란케 하였다. 청나라 측은 북경조약 체결로 말미암아 훈춘 가까이 국경이 설정됨으로써 동해안에 접해 있는 포세이트 만을 잃게 되어 만주지역이 내륙으로 막히는 등 교통지리상 일대 변혁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황 하에서 우리나라의 유서 깊은 녹둔도는 청나라와 러시아간에 체결된 북경조약의 후속조치인 홍개호계약에 따라 국경이 확정되면서 러시아에 점유되고 말았다.
-북경조약이 우리나라에 미친 여파
오랜 기간 사대주의의 대외정책을 고수해 오던 조선정부는 청국이 영국과 프랑스군의 침공을 막아내지 못하고 천진과 북경이 함락 당해 청의 공친황이 피신하고 마침내 북경조약과 천진 조약을 체결, 막대한 손해배상금의 지불 약정과 기독교 포교의 자유, 남북 각지의 항구 개항이라는 굴욕을 겪게 되었다는 소식으로 많은 충격을 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