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 영재교육

 1  [교육심리] 영재교육-1
 2  [교육심리] 영재교육-2
 3  [교육심리] 영재교육-3
 4  [교육심리] 영재교육-4
 5  [교육심리] 영재교육-5
 6  [교육심리] 영재교육-6
 7  [교육심리] 영재교육-7
 8  [교육심리] 영재교육-8
 9  [교육심리] 영재교육-9
 10  [교육심리] 영재교육-10
 11  [교육심리] 영재교육-11
 12  [교육심리] 영재교육-12
 13  [교육심리] 영재교육-13
 14  [교육심리] 영재교육-14
 15  [교육심리] 영재교육-15
 16  [교육심리] 영재교육-16
 17  [교육심리] 영재교육-17
 18  [교육심리] 영재교육-18
 19  [교육심리] 영재교육-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한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미국 중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독일, 러시아 영재교육과정 사례, 이스라엘 영재교육 사례, 싱가포르 영재교육과정 사례
  • [영재교육] 영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방안
  •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목표,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자료, 교수학습평가,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사례, 향후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개선 과제
  • [영재교육의 이해와 우리나라 영재교육 전략] 영재교육의 이해와 우리나라 영재교육 전략
  • 영재교육과정 개념, 영재교육과정 필요성,목적, 영재교육과정 유형,형식, 영재교육과정 실태,쟁점, 영재교육과정 사례, 영재교육과정 제고방안,제언
  • 초등학교 교육특성, 초등학교 시간배당, 초등학교 수준별교육과정운영, 초등학교 영재교육, 초등학교 통합적활동주제중심수업, 초등학교 발전방향
  • 한국,북한 영재교육과정 사례, 중국,대만 영재교육과정 사례, 미국,영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러시아 영재교육 사례, 이스라엘 영재교육과정 사례
  • 영재교육과정 교수학습이론,심화학습운영, 외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영재교육과정 제고방향 분석
  • [교육학]영재교육의 실태와 해결방안
  • [초등학교 영재교육][초등학생 영재교육]초등학교(학생) 영재교육의 선행연구와 대상자, 초등학교(학생) 영재교육의 운영방법과 심화학습프로그램, 외국의 초등학교(학생) 영재교육 사례, 향후 초등학교(학생) 영재교육의 개선 방안과 제언 분석
  • 소개글
    [교육심리] 영재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부 -1 영재의 정의 및 특성
    1부 -2 영재아 판별.

    2부 -1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2부 -2 (문제점을 통해서 본) 영재교육의 정책
    2부 -3 가정, 부모, 환경
    2부 -4 교사의 역할과 영향
    본문내용
    1부 -1 영재의 정의 및 특성

    영재의 정의

    영재는 어떻게 정의하는가. 일반적으로 영재를 학업성적이 뛰어나거나 두뇌회전이 빠른 경우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체육을 잘하거나, 지도력이 탁월한 것 역시 영재성으로 보기도 한다. 이렇게 영재를 결정하는 ‘재능’이라는 개념은 어떤 분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포괄적인 성격을 띠어 갔다. 따라서 그러한 ‘재능’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는 ‘영재’에 있어서 만장일치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은 없다.
    영재아 및 재능아에 대한 관심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고증이 남아있는 한에서 우리 나라의 삼국 시대부터 시작된 만큼, 그 역사는 매우 길다. 서양의 경우 ‘영재’의 개념은 유전의 영향이냐, 환경의 영향이냐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을 통하여 성립되었다. 20세기 초 영재교육의 시조인 Terman이 ‘천재의 유전학적 연구’라는 종단연구를 시작하면서 그는 IQ검사가 안정적인 지능을 측정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1920년대까지 Terman의 ‘어린이의 지적능력은 조상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환경은 잠재능력을 발달시켜줄 뿐이다,’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후 Bagley와 Lippman 등의 학자들에 의해 비판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 들어서는 창의성 개념이 발달하고 과제집착력, 자아개념, 동기유발과 같은 요소도 영재아의 개념으로 보기 시작하면서 정의는 점점 더 확장되기 시작했다.
    최근의 ‘영재성’의 개념에서는 창의성을 포함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미국 문교국에서는 일반적 지적능력, 특수 학업 영역에서의 적성, 창의적 ․ 생산적인 능력, 지도자적인 능력, 시각 예술 능력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능력이 있거나 성취를 보일 가능성이 있을 경우를 영재아로 보았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적성검사나 지능검사를 사용하여 영재를 판별하기 때문에 창의성과 같은 항목은 판별이 교사의 주관적인 관점에 달려있다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Renzulli의 경우에는 영재아를 평균 이상의 지적능력, 과제에 대한 집착력, 높은 창조력을 그의 세 고리 개념 Three-ring Conception에서 영재개념의 구성요소로 보았다. 이 세 요소는 모두 중요하며 세 개념의 조화를 통해 영재성이 발현된다고 보았다.
    Gagne는 오랫동안 서양의 영재성에 대한 환경과 유전에 대한 논쟁을 절충했다. Gagne에 의하면 영재성은 선천적인 재능으로 인간의 적성 중 한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평균 이상의 타고난 능력을 말하고 특수 재능은 후천적인 훈련을 통해 인간 활동의 한 가지 이상의 분야에서 나타나는 평균 이상의 성취를 말한다. 그리고 영재성을 타고난 인간은 동기와 성격,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훈련 내 ․ 외적 환경을 통하여 ‘특수 재능’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근래에 재정된 한국의 영재교육진흥법에서는 ‘영재’를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영재를 판별하는 ‘재능’은 일반 지능, 특수학문적성, 창의적 사고능력, 예술적 재능, 신체적 재능, 그리고 기타 특별한 재능을 전부 포괄한다. 이는 미국 문교국과는 거의 비슷하되 학습의 개념과 연관되지 않는 ‘지도자적인 능력’을 제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