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문 남자의 탄생 남자의 탄생 줄거리 남자의 탄생 독후감 남자의 탄생 느낀점

 1  감상문 남자의 탄생 남자의 탄생 줄거리 남자의 탄생 독후감 남자의 탄생 느낀점-1
 2  감상문 남자의 탄생 남자의 탄생 줄거리 남자의 탄생 독후감 남자의 탄생 느낀점-2
 3  감상문 남자의 탄생 남자의 탄생 줄거리 남자의 탄생 독후감 남자의 탄생 느낀점-3
 4  감상문 남자의 탄생 남자의 탄생 줄거리 남자의 탄생 독후감 남자의 탄생 느낀점-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감상문 남자의 탄생 남자의 탄생 줄거리 남자의 탄생 독후감 남자의 탄생 느낀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남자의 탄생
어린 시절의 작가가 자란 집의 안방은 하나의 방이지만 두 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바로 아버지의 공간과 어머니의 공간이다. 칸막이가 있어 물리적으로도 나뉘어질 수 있지만 작가가 느끼는 공간의 분리는 다른 곳에서 기인한다. 아버지의 공간은 질서의 공간이다. 이 공간을 통해 유년 시절의 작가는 세상 만물에는 그 어떤 질서가 존재하고 그것은 아버지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생각을 하게 된다. 그에 반해 어머니의 공간은 무질서하고, 일을 하는 곳이었다. 작가는 그 두 개의 공간 속에서 다른 우리 사회의 두 가지 모습(계급과 질서의 모습, 제멋대로의 모습)에 대해 배워 가게 된다. 그 예로 두 개의 공간에서 비롯된 두 개의 언어를 든다. 작가는 계급과 질서의 공간인 아버지의 공간에서는 존댓말(공식적인 말)을, 무질서의 공간인 어머니의 공간으로부터는 반말(비공식적인 말)을 배우게 된다. 이 두개의 언어 사용은 작가에게 두 가지 자아를 가지게 하였다. 또 그 두 가지의 자아를 통해 제3의 자아, 수많은 자아를 갖게 하였다. 이것은 비단의 작가만의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 두 개의 공간을 가진 채 성장한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상황이다. 작가는 그 수많은 자아를 가짐으로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게 된다.
안방의 두 개의 공간 분리와 마찬가지로 작가는 집에 대한 이미지도 두 가지로 나뉘어 가졌다. 하나는 어머니와 밥이 기다리는 따뜻한 집 바로 어머니의 집이었고, 다른 하나는 계급과 질서의 원리가 지배하는 아버지의 집이었다. 아버지의 집에서 작가는 두 가지 모습을 가지게 된다. 자랑할 수 있는 업적이 있을 때와 그것이 없을 때의 모습이다. 업적이 없을 때 작가는 죄의식을 느끼게 되고, 아버지는 바로 그런 걱정거리를 만들어 주는 사람이 된다.
어머니 죽음이나 아버지의 죽음도 작가에게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작가는 어머니의 죽음은 무한대의 수평적 슬픔으로 다가오는 반면에 아버지의 죽음은 절망으로 다가오는 수직적 슬픔으로 느꼈다. 아버지의 죽음을 상상했을 때 작가는 어머니가 죽었을 때의 단지 슬픔과 달리 작가에게 있어서 커다란 혼란을 일으켰다. 어린 시절 작가는 아버지를 통해 세상과 연결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 결과 아버지의 죽음은 곧 세상과의 단절을 의미했다.
이처럼 작가는 그에게 두 가지의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는 다른 아버지와 어머니지만 울타리라는 또 다른 관념을 통해 작가의 집이 하나의 공동체로 유지된다고 생각한다. 즉, 울타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공간을 연결하고 묶어주는 통합의 원리였다. 이런 울타리는 비단 하나의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작가가 살아가는 모습이라고도 생각한다. 여러 개의 자아를 통해 작가는 여러 개의 집단에 소속되어있고, 거기의 울타리는 각자 그 두께 및 높이가 다르다. 이러한 울타리들이 모일 때 작가는 자기의 자아가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작가 집의 울타리는 거기에서 거주하는 가족들이 불가분의 모습을 지닌 가족으로서의 모습을 지니게 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아버지의 공간, 어머니의 공간과 같은 질서가 존재하는 울타리이다. 그 질서는 꼭짓점에 아버지가 있고, 어머니와 아이들은 맨 아래 둥근 바닥에 거주하는 원뿔과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다. 즉 아버지는 위로 올라가려는 이미지 곧 권위적인 이미지를 가졌고, 어머니는 둥근 평면적 이미지를 가졌다. 이 상반된 이미지는 울타리를 통해 통합되어 작가의 집을 유지하는 원리로 존재하였다. 그리하여 작가의 집의 가장 큰 특징은 종속과 의존이었다. 그 집 안에선 누구 하나의 독단적인 모습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존재함으로써 그 의미를 가졌다.
이러한 작가의 집의 이미지는 자가의 자아, 성격, 문화, 사회, 경제, 정치적 취향을 결정짓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집의 이미지, 수평과 수직 또는 어머니의 원리와 아버지의 원리는 단지 작가의 집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사고 방식에 뿌리 박혀 있는 두 가지 원리라고 작가는 주장한다. 어머니의 원리의 발현으로 올림픽 주 경기장, 아버지의 원리의 발현으로 올림픽 공원의 평화의 문을 예로 제시했다.
작가는 유년 시절 아침에 일어나 처음 어머니의 공간에서 행복을 느꼈다. 그것은 모닝 키스 등을 통해 회고된다. 그 행복은 밤에도 어머니와 동침을 함으로써 유지되었다. 또한 그 동침의 권리는 어머니의 육아법을 통해 작가뿐만 아니라 작가의 형이나 누나, 동생도 가졌었다. 또한 낮에도 작가는 빨래 등을 통해 어머니 행복을 함께 하였다. 이런 점에서 작가는 아버지보다 오히려 자기가 더 어머니랑 부부 같았다고 주장한다. 신화 속의 오이디푸스와 달리 작가는 누가 아버지이고 누가 어머니인 줄 다 알면서도 어머니와 결혼 생활을 했고, 아버지도 죽이지 않으면서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 결혼이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봤을 때 또한 작가와 어머니는 완벽한 부부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 된다. 첫째, 성(性)적인 측면에서 작가는 모닝 키스나 동침을 통해 아버지보다 훨씬 풍부한 관계를 누렸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부부간에 내외를 했다. 둘째, 경제적으로도 작가는 가정경제의 기본인 소비경제에 대해 어머니와 함께 누렸다. 셋째, 사회적으로도 작가와 어머니는 인정받는 관계였다. 이처럼 작가는 아버지도 보다 더 완벽한 결혼 생활을 어머니와 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발성에 있어서는 서로가 원한 것이라 하기보다는 어머니의 의지가 많이 반영된 것이었다. 그렇지만 소비경제계획서 작성이나 계와 같은 재산증식 과정에 재테크 컨설턴트로의 활동에서 보듯이 그럴듯한 부부생활을 영위하였다.
이런 점에서 작가는 아버지는 껍데기 남편이고, 어머니와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나의 모습이 더욱 부부 같은 데가 많았다고 주장한다. 아버지가 어머니에게로 향하는 아들의 사랑과 욕망을 차단하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걸린다고 하는 이야기는 작가에게는 적용이 없는 것이다.
작가의 어머니 공간에서의 행복은 아버지로부터 가장 먼저 위협을 받게 되었다. 이른바 이유 사건을 통해 아버지에 의한 행복의 간섭을 받았다고 작가는 회고한다. 작가에게 있어서 이 최초의 시련은 가족뿐만 아니라 동네방네 소문이 났다. 그리하여 형과 누나는 물론 동네 사람들도 이 사건을 화제로 삼았다. 이것이 작가가 처음 당해보는 한 사람 대 여러 사람의 상황이었다. 곧 작가의 행동이 사회의 규제를 받기 시작했다는 뜻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