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고

 1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고-1
 2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고-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고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막스베버는 노동과 이윤의 추구를 ‘소명’으로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직업 관념이 기독교적 금욕주의에서 탄생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 프로테스탄티즘의 금욕주의는 노동을 소명으로, 은총 상태를 확신하기 위한 최선의, 아니 궁극적으로 유일한 수단으로 파악함으로써 그 규범에 심리학적 동인을 부여했던 것이다. 그리고 프로테스탄티즘의 금욕주의는 또 다른 한편으로 기업가의 화폐취득도 ’소명‘으로 해석함으로써 이와 같은 특별한 노동 의욕을 가진 자들에 대한 착취를 정당화 하였다. 이렇게 보면 신의 나라에 대한 배타적인 추구, 다시 말해 오직 소명으로 주어진 노동의무를 이행함으로써 신의 나라에 도달하려는 시도와 교회규율이 당연지사지만 특히 무산계급에 강요한 엄격한 금욕이 자본주의적 의미에서의 노동’생산성‘을 강력히 촉진할 수밖에 없었음은 새삼 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영리 활동을 ’소명으로 보는 것이 근대 기업가의 특징이 된 것과 마찬가지로 노동을 ‘소명’으로 보는 것이 근대 노동자의 특징이 되었다.(p360)‘
막스베버의 이러한 고찰은 신앙고백과 사회계층, 자본주의 ‘정신’, 루터의 직업 개념이라는 세 가지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한다. 베버는 프로테스탄트들이 대규모 근대적 상공업, 자본의 소유, 경영 그리고 고급 노동에 종사하는 프로테스트의 수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많다는 사실에서 신앙의 소속은 어느 정도 까지는 경제적 결과로 보인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 종교 개혁은 교회의 지배를 삶의 모든 영역에 스며들어 전체적인 생활양식을 극도로 진지하게 통제하는 방식으로 대체 하였으며, 프로테스탄트들은 합리주의에 대한 특별한 경향이 있다고 한다. 또한 베버는 노동 자체가 절대적인 목적이 되었을 때 노동 생산성이 향상된다고 하였다. 임금과 노동의 관계가 아니라 노동을 하는 노동자의 노동에 대한 ‘소명’의식이 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동의식의 향상 즉 소명을 갖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장기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전통주의적인 구습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은 종교적 교육의 결과로 주어지는 것이라고 베버는 말한다.
경제적 자본주의적 형태와 이를 이끄는 정신은 일반적으로 ‘적합한’관계에 있기는 하지만 ‘법칙적인’ 상호의존 관계는 아니다. 그리고 직업적으로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정당한 이윤을 추구하는 정신적 태도를 잠정적으로(근대)‘자본주의 정신’라고 표현한다면 그 정신적 태도는 근대자본주의적 기업에서 적합한 형태를 발견했고 다른 한편 자본주의적 기업은 그 태도에서 가장 적합한 정신적 추진력을 발견하였다.
새로운 자본주의 정신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은 화폐 재고를 다시 재투자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베버는 루터의 직업 개념을 통해서 직업이 갖는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한다. 루터는 직업을 갖는 것이 신을 가장 기쁘게 하는 일이라는 표현처럼 세속적 직업 생활에 도덕적 특성을 부여 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의 문제제기 후 베버는 금욕적인 프로테스탄티즘 직업윤리에 대해 이야기 한다.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의 역사적 담지자로 1)칼뱅주의가 17세기 동안에 서부 유럽의 주요지배지역에서 취한 형태 2) 경건주의 3)감리교 4)제세례파 운동에서 발생한 분파들(p167) 을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