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

 1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1
 2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2
 3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3
 4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4
 5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5
 6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6
 7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7
 8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8
 9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9
 10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10
 11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11페이지 / hwp
  • 1,400원
  • 4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보바리 부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엠마 보바리의 대안을 향한 갈망
- 《보바리 부인》을 심리 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목차
Ⅰ. 여는 말
Ⅱ. 작가 및 작품 소개
1.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삶과 작풍
2.《보바리 부인》 줄거리
Ⅲ. 심리주의의 창으로 본 보바리 부인
1.《보바리 부인》에 투영된 플로베르의 자아
2. 엠마 보바리의 무의식과 욕망
3. 이 시대, 우리들의 ‘보바리즘’
Ⅳ.맺는 말
Ⅰ. 여는 말
《보바리 부인》이 출판된 1857년은 ‘보바리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이 작품은 그 해 보들레르가 세상에 내놓은 《악의 꽃》과 더불어 풍기 문란 죄로 제2제정의 법정에 차례로 출두해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그러나 이 작품이 세상의 이목을 끌 수 있었던 것은 흔하디흔한 불륜이란 소재가 새삼 사람들의 흥미를 불러일으켰기 때문만은 아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보바리 부인》를 논할 때 ‘불륜’에 초점을 맞춰서는 안 된다. 이것은 작품의의 큰 줄기를 형성하는 사건이기는 하지만 소설의 모티브가 되었던, 어디에나 있을 법한 ‘불륜’에 지나지 않다. “문학에 있어서 예술적으로 훌륭한 주제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보잘것없는 시골 마을인 이브토를 그리건 유명한 대도시 콘스탄티노플을 그리건 결국은 마찬가지이다.” 김화영, 《발자크와 플로베르》, 고려대학 출판부, 2000, 152
라고 한 플로베르의 말처럼, 결국 주제 자체보다 그 주제를 풀어가는 방식이 중요하다. 그렇다고 주제를 풀어가는 방식, 즉 스타일만이 중요하다는 것이 아니다. 다만 그 스타일이라는 것이 사건을 풀어가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글을 쓰는 사람의 생각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바리 부인》은 19세기 전반기 프랑스 지방 사회의 모습을 사실주의적 필치로 그려 낸다. 이 소설은 여주인공 엠마 보바리를 둘러싼 마을의 인물을 통해 소부르주아의 순응주의와 천박한 현실주의를 비판한다. 흥미로운 것은 적확한 단어나 문장을 사용해 객관적으로 이야기를 서술하면서도 그것들이 내면의 심리적 도식을 떠받들어주는 구도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입 부분에서 제시되는 엠마의 성장 과정은 그녀의 기질을 형성하고, 그것이 소설을 이끌어나간다. 따라서 사실주의적 필치로 그려진 일련의 사실들은 등장인물들의 행위 동기, 즉 심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소설의 이해에서 심리적 접근법은 필수이다.
심리주의 비평은 문학 작품의 심리적 측면에 관심을 기울인다. 심리학은 인간 행동의 동기를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심리주의 비평은 작품 내외적으로 관계된 동기를 파헤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문학을 심리주의로 접근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 일반적 의미의 심리학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것과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는 것이 전통적이지만 최근에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이나, 해럴드 블룸의 ‘영향의 불안’이론도 심리주의 비평의 한 갈래로 볼 수 있다.
가 있지만 이 소설의 비평을 대안을 향한 갈망, 즉 인간의 욕망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을 도입하여 살펴보겠다.
흔히 사람들은 어떤 비평이 심리 문제와 조금이라도 맥이 닿아 있으면 심리주의 비평으로 간주하고자 한다. 실제로 심리주의 비평 방법이 광범위한 영역을 차지하기는 하지만 연구 방법으로 유용하기 위해서 그 범위를 세 가지로 좁혀보았다. 첫째, 유형이나 개인으로서 작가의 심리학적 연구이고 둘째, 문학 작품에 나타나 있는 심리적 유형이나 법칙의 연구이며 셋째, 문학이 독자에게 주는 심리적 효과 김욱동, 《광장을 읽는 일곱 가지 방법》, 문학과 지성사, 1996, 180;1~4
/10
의 세 가지가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