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

 1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
 2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2
 3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3
 4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4
 5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5
 6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6
 7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7
 8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8
 9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9
 10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0
 11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1
 12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2
 13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3
 14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4
 15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5
 16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6
 17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7
 18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8
 19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19
 20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문론] 문화일보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개요
2.석간 신문으로써의 특징
3.지면구성및광고
4.논조분석
(1)사설분석
(2)만평분석
본문내용
이전에는 많은 신문들이 석간발행을 하고 있었지만 1991년 경향신문을 시작으로
동아와 매일경제, 95년 중앙, 99년 국민일보에 이르기까지 대다수의 신문들이 조간으로
발행체제를 전환하면서 국내 신문시장은 조간위주로 재편성됐다.
이렇듯 조간으로 시장의 판도가 바뀐 것은 하루의 뉴스를 밤동안에 정리해 다음날
발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석간보다 유리하다고 판단됐기 때문이다. 또한 신문배달의
교통이나 인력면에서도 조간이 석간배달보다 유리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조용중, “당연한 귀결, 질높은 발전의 전기-조간 경쟁시대 개막 의의”, [신문과 방송], 1993.4, 한국언론연구원, p.2
석간의 경우는 가판과 지방수송을 위하 한낮에 기사를 마감하기 때문에 오전
중 상황이 끝나지 않는 한, 그날의 뉴스를 다루면서도 사태의 종결을 보지 못한채
기사를 쓸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성진선, “조석간 전환을 전후한 경제신문 경제정책 관련보도의 특성비교”,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00) p.9

전통적으로 조간의 기사는 충분한 배경설명까지 곁들여서 길게 쓰고 지면구성도
차분한 반면 석간은 짧게 요점 위주로 쓰면서 제목도 독자의 시선을 끌도록 크게
붙이는 등 때로 선동적이기까지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독자 역시 일하거나 움직이는
시간대에 신문을 대하기 때문에 큰 뉴스만 찾게 되는 입장이기 쉽다. 또한 조간에
유리하게 끔 국내 중대 뉴스 발생 시간이 오후 시간대에 집중된다거나 배달시간 단축
이라는 현실적 상황도 석간의 불리한 점으로 꼽힌다.
참고문헌
조용중(1993), “당연한 귀결, 질높은 발전의 전기-조간경쟁시대 개막 의의”,
성진선(2000), [신문과 방송], 1993.4, 한군언론연구원, p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