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

 1  [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1
 2  [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2
 3  [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3
 4  [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4
 5  [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
- 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 -
1. 들어가는 말
1967년 3월 26일 부활절에 ‘일본기독교단’은 ‘제2차 세계대전 하에 있어 일본기독교단의 책임에 대한 고백’을 의장 스즈키 명의로 공포했다. 이는 전쟁 후 일본에 있어 종교, 사상, 학술, 언론 분야 전체를 통 털어 최초의 전쟁책임 고백이었다. ‘일본기독교단’의 고백 이후, 이외의 몇몇 교회, 불교 종단 등도 같은 모양과 취지의 고백, 혹은 선언을 행한 바 있다. 하라 마코토, 『전시 하 일본기독교사』서정민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9), 7.
이 고백은 일본기독교계의 피해자에서 가해자로의 모습을 인정을 의미하며, 예언성을 회복하고, 화해의 몸짓을 보여주고 있다. 이글에서 이러한 전책고백을 통해,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전쟁 직후의 일본기독교
패전 이후, 전쟁책임의 문제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일본의 권력 핵심부는 이 문제에 대해 소극적이거나 외면하는 태도를 보였다. 오직 승전국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천황제 국체를 유지하는 일에 온 힘을 기울였다. 이 과정에서 일부 천황의 지위는 포기하였으나, ‘상징천황제’라고 불리우는 천황제 국가의 골격은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전쟁책임의 최고책임자로서의 천황을 그 책임을 묻는 논의에서 비켜가도록 하는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새 헌법을 통해 국민의 자유, 평등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에서 전후 민주주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서정민, 『한일 기독교 관계사 연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158.
일본기독교 또한 전쟁책임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았다. 일본기독교가 전시 하에서 소극적이었던지, 적극적이었던지 간에 전쟁동원에 깊이 참여하고, 파시즘에 협력한 이상 그 존재양식에 대한 점검을 기한다는 일은 필수적인 과정이 아닐 수 없었다. 전후 초기 일본기독교의 반응은 변명의 논리가 주된 것이었다. 나아가, ‘천황제’에 대한 일본기독교계의 의식도 초기에는 변함이 없었다. 특히 이 무렵의 일본기독교계 주장 중에는 군부에 의해 천황도, 일본국민들도, 그리고 기독교인들도 모두 희생을 입은 피해당사자라는 의견을 표명하였다. 즉 모든 책임을 군부로 돌리는 경향이 나타났다. 서정민, 『한일 기독교 관계사 연구』, 159.
전후 5, 6년간은 일본에서 기독교 붐이 일어났다. 미점령군은 기독교 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지원했으며, 일본 지배층도 미국의 뜻에 맞추어 기독교에 대해 호의적이었다. 민중은 패전으로 인해 허탈감과 해방감이 엇갈리는 가운데 시대의 흐름을 감지하고 있었으며, 어느 정도 기독교에 대해 호기심과 관심을 갖게 되어 교회를 찾아나섰다. 이러한 정세에 대응하여 일본기독교단은 제3회 임시총회(1946. 6)에서 “신일본건설 기독교운동”을 결의하였다. 여기에서 “전일본을 그리스도에게”란 표어를 내걸고 3백만명 구령을 목표로 정하고, 1946년부터 3년간 이 운동을 진행하였다.. 도히 아키오, 『일본기독교사』김수진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91), 403.
이 총회에서, 최초로 전시하의 일에 대한 반성의 의도가 나타났다. 이른바 “신일본건설을 위한 기독교 운동 선언문”이 발표되었다. 그 내용 중에는 “우리 일본국민은 이번 전쟁에 대한 책임을 통감할 수밖에 없다. 특히 평화의 복음을 신봉하는 기독교인으로서는 더욱 심각한 반성과 회개를 표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서정민, 『일본기독교의 한국인식』, 299-300.
이 성명은 표어에 지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영국과 미국 격멸, 본토 결전 사수를 부르짖던 교단이 실은 평화의 복음을 신봉해 왔다고 주장한다고 해도, 신용받기 어려운 표어였다. 교단은 비판과 변혁 대신에, 점령군에 의해 말하여진 비군사화, 민주화 정책에 재빨리 편승하였다. 도히 아키오, 『일본기독교의 사론적 이해』, 서정민 역(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3), 311.
이 ‘선언’의 문제점은 죄에 대한 고백과 회개를 위한 구체적인 책임문제나 신학적 갱신, 사회적 책임의 실현 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서정민, 『한일 기독교 관계사 연구』,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