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

 1  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1
 2  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2
 3  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3
 4  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4
 5  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개교회사 실제 분석 『해방교회 50년사(1947~1997)』
1. 서론 - 신용비어천가 2009
우리는 이 책을 두 뺨에 흐르는 눈물 없이 읽을 수 없다. 이양호, “한국교회 찬송가의 역사,” 「기독교사상」 464호 (1997. 8), 133.
아아아! 우리 살아계신 주님은 이미 만세전에 이 책의 집필 및 출판을 계획하시어 서정민교수님께는 그것도 무려 20세기 말에 기본 원고료 1,200만원을 서정민, 『해방교회 50년사 1947~1997』 (서울: 해방교회창립50주년기념사업회역사편찬위원회, 1999), 392.
, 그리고 후대에 공부하는 우리에게는 이상적인 개교회사 서술의 실례를 허락하시었다. 더욱이 해방교회 교인들에게는 그들의 자긍심을 고양시켜 줄 찬란한 교회의 50년 역사가 정리되는 기쁨을 주셨다. 우리는 감사와 환희에 가득 찬 마음을 안고 이 귀중한 책을 이번 주 추수감사의 제단에 한국교회와 교회사학계의 감사 제목으로 내놓아야 마땅하리라.
그럼 일단 보험은 들어놓았으니 본론으로……
2. 지역사와의 관계 서술
이혜원 학우의 발제에 따르자면 이 책은 현재 나와 있는 개교회사 중에서 지역사와의 관계적 서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책이다. 이혜원, “個교회사 서술의 방법론,” 2009. 11. 3일 발제.
이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이혜원 학우의 입장이 틀린 것은 아니라는 점은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교회의 설립 배경과 관련하여서는 아예 따로 한 장을 할애하여 남산과 용산의 지역사를 살펴보고 해방촌이라는 지역의 특성을 정리하고 있다. 또한 그 보다 앞서 해방교회의 역사적 연원을 살피는 과정에 서북계 기독교의 수용과 그 특징 등을 정리하면서 해방촌에 정착한 기독교인들이 어떤 신앙적 전통에 서있는 사람들이었는가를 살폈던 것을 염두에 둔다면 이는 역사의 종횡을 아우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개교회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우선은 설립사가 내용요소의 처음이 되며 교회의 설립사에 “선교수용사의 교회사적 배경, 민족사로 대표되는 시대적 정황이 함축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특정한 교파사로서의 연대구조도 빠질 수가 없으나 그러한 모든 것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그 입지적인 지역사회사와의 관련성”이라는 저자의 기본적 입장 서정민, “개교회사 연구 및 편찬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검토,”「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식」제12권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3), 27.
이 잘 실현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책의 후반부로 갈수록 지역사와의 관계서술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 이후의 교회 역사로 들어가면, 교회의 대사회활동과 관련된 차원에서만 해당 활동을 촉발시킨 지역사회의 정황만이 간략히 소개될 뿐 서정민, 『해방교회 50년사 1947~1997』 (서울: 해방교회창립50주년기념사업회역사편찬위원회, 1999), 270-271 참조.
이며, 교회의 내적 논리, 사업, 조직, 활동에 더욱 많은 비율의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넘겨짚어 생각하건데 이는 전쟁 이후의 지역사나 민족사에 집중하게 되었을 때 해방교회가 가지고 있었을 지도 모르는 여러 약점들이 드러나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예를 들어 1963~1982년까지 해방교회의 담임목사는 박치순 “1917. 7. 12~1986. 12. 16 장로교 목사. 황해도 재령 출생. 일본 동부신학교를 중퇴하고 장로회신학교와 홍익대를 졸업하였으며 예장 황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 군종제도 창설기인 1951년 2월 28일, 32명의 목사와 신부가 무보수 촉탁으로 선임되었는데 이때 박치순목사도 육군군목으로 임관하여 60년까지 활동하였다. 56년에는 제2대 군종감으로 취임하여 군종제도의 초석을 놓았다. 전역 후 해방교회에서 목회하다가 82년 12월 21일 은퇴하여 원로목사에 취임하였다. 서울서노회장, 한국장로교협의회 회장, 대한민국 재향군종 총회장, 한국찬송가공회 회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부회장, 제 65대 예장통합 총회장, 대한성서공회 회장, 한국교회 선교100주년 선교대회 대회장 등을 역임했다,” 서정민, 『해방교회 50년사 1947~1997』 (서울: 해방교회창립50주년기념사업회역사편찬위원회, 1999), 25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