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누구의 편인가

 1  언론은 누구의 편인가-1
 2  언론은 누구의 편인가-2
 3  언론은 누구의 편인가-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론은 누구의 편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살아가면서 국내, 국외의 소식을 듣고 접하는데 있어서 언론의 방향설정이 우리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다. TV의 뉴스는 소식을 전하는데 목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편파적이지 않으며 그나마 중립적인 위치를 지킨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신문의 경우는 어떠한가. 언론 중에서도 신문은 권력에 힘을 더해주고 그 권력을 이용하는 관계가 설정되기 쉽다. 흔히들 말하는 조중동(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은 보수적인 신문이며 한겨레로 대표되는 신문들은 진보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것은 다들 아는 사실이다. 특히 조중동이라고 대표되는 신문사들이 주로 비판의 대상이 된다. 바라보는 시선자체가 다르다는 사실도 있지만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따로 있다. 현 정부에 대해 무슨 일이든지 반대적인 입장을 취하고 갈등을 유발시킨다. 그러나 이것이 무조건 잘못됐다고 볼 수 없는 건 관점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반대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면 구독하는 입장에서도 다른 신문으로 바꿀 것이지만 비판하는 사람이 많음에도 보수적인 입장의 신문들이 제일 많이 구독되는 사실은 아이러니하다.
다 자기성향에 맞는 신문을 구독하면서 읽다 보면 어느새 자기가 읽는 신문의 사설이나 칼럼의 관점이 맞는 사실인 것처럼 생각하기 쉽고 이런 것을 이용하여 사실을 왜곡 없이 보도해야하는 곳에는 자신들이 주장하고픈 이야기를 쓴다. 사실을 왜곡하면 그에 의한 판단 역시 흐려질 수밖에 없다. 보수적인 신문으로 대표되는 조선일보와 진보적인 신문으로 대표되는 한겨레신문에 같은 사실에 대해 어떻게 쓰였는가 볼 필요가 있다.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의 관점 차이에 대해 2006년 11월 17일 자 사설을 비교해 보자.
① 정부는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에 찬성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결의안은 EU 국가와 미국·일본 등 37개국이 제안한 것이다. 정부는 2003년부터 내리 3년간 유엔 인권위원회와 작년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에 기권 또는 不參불참했다. 송민순 외교통상부장관 內定者내정자는 “상황이 변했다.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이 정부 판단에 반영이 됐다”며 “(북한 인권문제는) 앞으로 인류 보편적 가치에 따라 對處대처하겠다”고 했다.
이 정부는 지금까지 유엔의 북한 인권결의를 外面외면할 때마다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추구해야 하는 남북관계의 특수상황 때문”이라고 했다. 북한이 껄끄러워하는 인권문제를 거론하면 남북대화에 지장이 생길까 봐 염려해서 그랬다는 것이다. ②2300만 북한 주민의 신음에는 귀를 막은 채 북한 세습체제의 주인과 그 종복들의 비위만 맞추었던 것이다. 정부는 유엔 인권위에 북한 인권문제가 上程상정되는 걸 막으려고 로비까지 벌였고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북한인권 관련단체들에 “전쟁하자는 것이냐”고 으름장까지 놓았다.
남북관계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북한 주민의 삶이다. 그것이 남북대화의 목적이다. 통일은 그 다음이다. ③북한 주민의 삶의 조건과 인권을 개선하는 데 보탬이 되지 않는 남북대화는 남북 지배층이 서로 利害打算이해타산을 맞추는 정치거래일 뿐이다. 과거 서독의 동독에 대한 지원은 철저하게 정치범 석방, 여행의 자유 확대, 삶의 조건 향상에 그 과녁이 맞춰져 있었다. 서독은 1963년부터 베를린장벽이 무너진 1989년까지 동독 정치범 3만3755명을 석방하는 데만 34억4000만 마르크(現在價현재가 13억 달러)를 지원했다.
이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 인권결의 찬성방침이 나온 직후 “북한 인권에 대한 정부 基調기조는 바뀌지 않는다. 제재나 압박 대신 대화를 통해 실질적 인권환경을 개선해 나간다는 입장엔 변화가 없다”고 했다. 그 많던 남북대화의 어느 테이블에서도 북한 人權인권의 ‘人인’ 字자도 꺼내지 않았던 ④ 이 정권이 언제 어떤 ‘대화’로 북한 인권환경을 개선하려 했다는 것일까. 이 정권은 결국엔 이렇게 이런저런 상황에 밀려 마지못해 북한 인권 결의에 줄 서는 시늉을 하면서조차 끝내 眞實진실을 실토하지 못하는 정권이다.
첫 번째 단락의 내용은 구체적 사실을 알려주는 글이다. 그 동안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