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

 1  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1
 2  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2
 3  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3
 4  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4
 5  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5
 6  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체능 천년만세와 창극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목 차 -
Ⅰ. 천년만세
1) 천년만세란
2) 천년만세 악곡의 구성과 특징
3) 천년만세 악곡의 비교 및 정리
Ⅱ. 창극
1) 창극의 발생, 발전
2) 창극의 특징
3) 창극과 판소리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참고문헌
Ⅰ. 천년만세
1) 천년만세란
천년만세란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의 세곡을 이어서 연주할 때 부르는 이름으로 현악영산회상을 연주한 끝에 덧붙여서 이 세곡을 연이어 연주하는 것이다. 이 곡들의 연주형태는 줄풍류로 현악기 중심의 편성이며, 현악기 중에서도 거문고가 중심을 이루는 경쾌하고 화려한 모음곡이다. 또한 세악합주(일종의 실내악)형태이며 악기가 하나씩 편성되는 단잽이 편성으로 연주된다.
(1) 천년만세의 연주 형태 (가진회상, 민회상)
요즘은 천년만세만 따로 떼어서 연주하기도 하지만, 예전에는 현악영산회상을 연주하고 난 끝에 곁들여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현악영산회상에 천년만세까지 곁들여 연주하는 것을 ‘가진회상(가즌회상)’ 이라 하고, 현악영산회상만을 연주하는 것을 ‘민회상’이라 한다.
(2) 보허사와 밑도드리, 웃도드리
관악보허자 - 보허자
보허자
현악보허자 - 보허사
고려시대 송나라 사악에서 가사가 있는 노래로 보허자가 들어왔는데, 이는 당악곡의 하나였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기악화되고 다시 관악보허자와 현악보허자로 나뉘어 발전했다. 이 보허자들을 영조 이후에 원곡인 보허자와 구별하기 위해 현악보허자를 보허사로, 관악보허자를 보허자로 불리게 되었다.
한 장단 10박으로 된 보허자의 반복부분(환입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한 장단 6박의 곡으로 변주하여 연주한 곡을 도드리라고 부른다. 이 도드리곡을 한 옥타브 위로 올려 변주하고 가락을 다채롭게 변화시킨 웃도드리가 생긴 후 두 곡을 구분하기 위하여 원래의 도드리곡을 아래의 도드리라는 뜻으로 밑도드리라고 하였다. 즉, 밑도들리에서 웃도드리가 파생되었고, 또 웃도드리에서 양청도드리와 우조가락도드리 등 여러 곡이 파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