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

 1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1
 2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2
 3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3
 4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4
 5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5
 6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6
 7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7
 8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8
 9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9
 10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의 개관
- 길리건의 배려윤리와 배려도덕성 발달이론
-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배려교육론
- 정의와 배려의 통합적 접근
2. 관련사례와 분석
- 나의 사례1
- 나의 사례2
- 초등 도덕교과서에서의 배려윤리
3. 배려윤리교육의 학급경영에서의 적용과 의의
Ⅲ.결론
Ⅰ. 서론
우스갯소리지만 요즘은 집에 강도가 들면 ‘불이야 하고 외쳐야 한다고 한다. 이유인즉 ‘강도야라고 외치면 두려워 나와 보지 않는 반면, ‘불이야라면 자기 집도 피해를 볼까봐 밖으로 나와 보고, 신고를 한다는 것이다. 요즘 사람들이 얼마나 타인에 대해 무심하고 이기적인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물론 다소 과장된 면도 없지 않지만, 왠지 씁쓸한 마음은 지울 수가 없다.
요즘 학생들은 자기 권리를 주장하고 확보하는 데에는 능숙하지만, 도덕적인 문제에 대한 감성은 부족하고 타인을 배려하고 도와주는 일에 무관심하거나 미숙한 경우를 많다. 이는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부형태의 가정 형태가 확산되면서 가정에서의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특히 공동체 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요즘 세대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것을 내면화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많은 윤리 이론 중에서 내가 배려 윤리를 선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우리는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삶’을 살고 있다. 학교는 지식만을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 공동체 삶을 위한 여러 가지 가치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중에서도 타인과의 조화로운 삶을 사는 인간을 가르치기 위해 학교 도덕 교육에 있어서 배려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 배려윤리에 대해 알아보고 도덕교육에 있어서 배려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려 한다.
Ⅱ. 본론
1. 이론의 개관
◆ 길리건의 배려윤리와 배려도덕성 발달이론
기존의 많은 철학자들이 남녀의 성차를 고려하지 않았던 것처럼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남녀의 구분 없는 단일한 척도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러한 단일한 척도에 의거한 도덕성 발달검사결과 남성은 도덕성 발달단계가 ‘법과 질서를 중시하는 도덕성’ 4단계에 해당하는 반면 여성은 상대적으로 열등한 ‘대인관계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 3단계에 해당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콜버그에게 있어 도덕성은 내용보다는 도덕판단의 관점 또는 방법의 형식적 특징과 관련하여 규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덕성은 단계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각 단계는 그것에 특이한 관점과 추론, 판단의 원리적 근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도덕단계는 발달적 위계화를 이루고 있으며 높은 단계일수록 보다 도덕적이며 단계의 위계적 발달에는 분화와 통합 그리고 평형화를 수반한다고 본다.
따라서 콜버그의 관점에서 보면 여성의 도덕성 발달이 남성에 비해 떨어진다고 결론내릴 수밖에 없다.
길리건은 이렇듯 발달 대 미숙의 관점에서 여성의 도덕 발달을 파악하는 것에 도전한다. 그녀는 여성과 남성은 다른 목소리 즉 다른 발달의 경로를 거친다고 주장한다. 여성들은 분리, 독립, 자율성 등보다는 인간관계와 연결에 기초하여 도덕을 규정하는 특성을 보이는데 말하자면 여성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감응적이며 그들과의 연관 속에서 행위하고 그들의 감정이나 사고에 대해 고려하며 그들의 삶에 대해 공감하고 관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도덕적 삶을 본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