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

 1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1
 2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2
 3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3
 4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4
 5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5
 6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6
 7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7
 8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 - 나딩스의 배려윤리학과 교육적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도덕교육1
알면, 그대로 실천할 수 있다. 이 당연한 전재 아래 수많은 학자들의 평생을 걸친 연구가 행해졌다. 내가 이번 학기에 배운 소크라테스의 이론이 그러하고, 콜버그와 피아제의 연구가 그러하다. 그러나 다시 한 번 묻는다. 알면, 그대로 실천할 수 있는가?
나는 ‘도덕교육’을 생각하면, 길가다가 자신에게 훈계한 교감선생님을 폭행한 한 중학생이 생각난다. 수업시간에는 선생님을 놀리고 또 때리는 학생들, 자신의 자식을 때렸다는 이유로 학교에 찾아와 선생님의 뺨을 때리는 한 어머니가 생각난다. 또 우리가 이번 학기 보았던 뚱뚱하다는 이유로 왕따를 당하는, 친구들이랑 밥 같이 먹은 점심시간 하루가 지금까지 학교 다니면서 제일 행복했다는 아이도 생각난다.
비단 이 사례뿐 아니라 하루가 멀다하고 ‘과연 도덕이란 게 있긴 할까? 저 아이들은 도덕에 대한 교육을 받지도 못했는가?’ 라는 의구심을 가질 만큼의 비도덕적 사례가 사회 곳곳에서 복합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특히 교육현장에서 그들은 우리가 가르쳐야 할 학생들, 우리가 사랑하고 보듬어야 할 학생들이다. 지금까지 학교교육에서 도덕교육이 실시되지 않은 것은 결코 아니다. 인터뷰를 굳이 해보지 않더라도 저 아이들, 저 어른들은 옳고 그름을 알 것이다. 학교에서, 또 살아가면서 너무나 당연한 도덕 교육의 시험지에 옳은 답만 적어놓고 나왔을 사람들이다. 그런데 왜 이렇게 행동하지 못하는가? 왜 이렇게 개인주의가 만연하고, 정과 배려는 사라져버린 현대사회가 되어버린 것인가?
나는 한 학기를 배우며 도덕교육에서 희망의 씨앗을 보았기에 이번 과제를 통해 현대의 맥락적이자 대안적인 이론, 나딩스의 배려이론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학교교육에서의 교수법적 적용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1. 배려이론은 어떻게, 왜 등장하게 되었나?
지금까지 학교 교육에서 다양한 윤리학적 이론이 소개되었고, 이에 기초한 다양한 방면에서 도덕교육이 실현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렇게 도덕 교육의 실제 효과에 대해 다양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은, 지금까지의 도덕 교육이 구체적인 삶과는 연결되지 않은 채 추상적인 논의에만 그쳤다는 데서 비롯한다.
도덕규범이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데 비하여, 현재 우리와 학습자가 겪고 있는 상황은 다양하고 구체적이다. 이에 대해 지금까지 우리에게 도덕교육의 지배적인 흐름이었던 피아제와 콜버그의 이론들은 개인의 자율성과 문제사태에서의 합리적 가치판단력만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개인간의 단절과 고립, 타인에 대한 배려의 부족, 이기주의와 같은 문제상황을 오히려 만들어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도덕 교육에 있어서 자율적 덕목이나 보편적인 추론 이외에 또 다른 대안적 도덕 교육의 방향을 원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길리간(Carol Gilligan)에 의해 제기된 배려윤리이다.
길리간에 따르면 도덕성은 정의의 도덕성과 사랑의 도덕성이라는 두 특성으로 구성되며, 정의의 도덕성은 권리, 공정성과 같은 남성적 특성을 가지는데 반해, 사랑의 도덕성은 배려, 책임, 인간관계, 애착 등과 같은 여성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많은 도덕 심리학자들에게 남성적 경험과 특성만을 반영하는 기존의 인지 도덕 발달론들은 지나치게 정의만을 강조하고, 인지적 영역만을 강조함으로써 여성적인 도덕적 관점인 배려 윤리는 무시되거나 경시되어 왔음을 지적한다. 이로 인하여 여성은 남성에 비하여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취급받았을뿐만 아니라 ‘배려’는 정당한 도덕적 가치를 부여받지 못했다.
길리간에 의해 처음 주장된 배려윤리는 여성적 관점에서 출발한 윤리의식이지만, 첫째 배려윤리가 갈수록 고립되어가고 개인주의적인 현대사회에 대하여 관계의 소중함을 주장하기 때문에 둘째, 배려윤리는 기존의 인지적 접근의 도덕교육이 도덕적 딜레마를 통해 도덕적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데 부딪쳤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통로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라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어 대안적 이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2. 배려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