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

 1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1
 2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2
 3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3
 4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4
 5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5
 6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6
 7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7
 8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8
 9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9
 10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10
 11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11
 12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 ≫
Ⅰ. 서론
Ⅱ. 본론
1. 여음의 의미
2. 여음의 종류
3. 여음의 기능
4. 여음의 계열별 고찰
5.여음의 특성
Ⅲ. 결론
Ⅰ. 서론
우리 고전시가 연구에서 여음의 중요성과 의미를 밝히려는 작업은 여러 차례 시도되어 왔다.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은 일찍이 주목해 온 갈래인 고려가요를 주된 대상으로 삼아 계열별 분류를 시도하고, 이들 각각의 성격을 규명해 왔다.
고려 속요의 형식적 특징 중 하나는 분연체로 되어 있는 각 연의 후반부에 여음에 해당하는 일종의 후렴구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속요가 궁중 속악으로 편입되면서 음악적 율조에 맡도록 덧붙인 것이다. 둘 이상의 절(節)로 이루어진 시나 가사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각 절의 마지막 부문, 시가(詩歌)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없어도 시상(詩想)은 성립될 수 있는 것들을 여음(餘音)이라 한다. 특히 행이나 연이 끝날 때마다 나타나는 여음을 후렴이라 한다. 후렴은 여음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형태이다. 음성 상징적 효과나 의미로써 시가의 분위기를 돋우고 가창(歌唱)이나 음영(吟詠)을 더욱 흥겹게 한다.
여기서는 고려속요 여음의 의미와 종류, 그리고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고려속요 작품들에 나타난 여음의 종류를 계열별로 고찰하고 그 성격을 알아보기로 하겠다.
Ⅱ. 본론
1. 여음의 의미
여음의 의미는 문학과 음악에서 각기 달리 쓰여 왔다.
문학에서 이병기는 여음에 대하여 소리로만 된 것은 의 ‘얄리얄리 얄라 얄라셩 얄라’, 말과 소리로 섞어 된 것은 의 ‘위 試場ㅅ景 긔엇더니잇고’, 말로만 된 것은 의 ‘아소 님하’ 등을 예로 들고 여음은 소리나 말 즉 가사(사설)와 관련 된 것임을 언급하였다. 황희영은 “여음은 원시인의 규환으로부터 시작하여 호성(呼聲)만으로 부르던 것, 집단가무에 있어서의 합창, 민요나 속요에 있어서의 말먹이는 소리와 받는 소리, 서정가요에 있어서의 후렴 등 감정을 표현해 나가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이명구도 황희영님의 여음이론에 동조하면서 여음 중 별 특정한 뜻은 없으면서 말로 이루어진 것은 사설(辭說)이라 부르고 음악적 성격으로 된 것은 의음(擬音)이라고 구분하였을 뿐이다. 결국 이병기, 황희영, 이명구는 여음이 모두 사설과 관련되어 있으며, 별 의미가 없거나 음악적 구음(口音)을 나타내는 소리 등을 여음으로 해석하였다. 여음에 관한 근래의 국문학계 학위논문으로는 임동규의 「고려가요의 여음연구」와 정종진의「고려속요 여음연구」등이 있으며, 이 논문들에서 실제 악보에 나타난 여음의 기록은 인정하면서도 굳이 음악적 여음과 문학적 여음을 구분하여 종래의 국문학에서의 여음이론에 맞추어 이론을 전개하였다. 이에 반하여 양태순은「정과정(진작)의 연구」에서 악곡과 노랫말을 구분 짓는 기능을 여음과 종지형이 맡고 있다고 하면서 여음이 가사가 없는 부분인 기악반주부분임을 인정하였다.
음악에서는 실제 여음이 기록된 악보인 『대악후보』『양금신보』등에 여음반여음대여음이 가사가 없는 부분에 기록되어 있다. 가곡에는 대여음중여음이 있는데 장사훈은 기악으로만 연주되는 전주곡 또는 후주곡이 대여음이라고 하면서 이는 일명 여음이라고 하였으며, 이보형은 노래에서 뜻이 없는 말로 길게 부르는 사설 즉 문학에서 말하는 여음을 입타령이라고 하면서, 우리나라 고가요에서는 의 후렴에 ‘아으 다롱디리’, 에 ‘얄리 얄리 얄라 얄라성 얄라’를 입타령이라 말하고 있다. 음악에서의 여음은 가사가 없는 부분 즉, 가사가 끝나고 기악으로만 연주되는 부분을 말하며 간주후주의 역할을 한다고 하겠다.
문학에서의 여음은 양태순의 논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논문에서 사설이 있으되 의미없는 사설이거나 구음을 의미하고 있으며, 『대악후보』『양금신보』등의 악보에 드러난 여음의 기록은 악곡상의 문제일 뿐이며 문학에서의 여음은 음악에서의 여음과는 별개로 사설과 관련된 종래의 이론을 되풀이 하고 있다. 문학의 사설도 그것이 악곡에 얹어서 노래 불렸다면 사설(가사)과 더불어 악곡도 같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정경란,「고려속악의 여음」,『한국학대학원논문집』제11집
2. 여음의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