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

 1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1
 2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2
 3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3
 4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4
 5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5
 6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6
 7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여음의 기능,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 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
Ⅰ. 여음의 기능
1. 시적 요소로서의 기능
- 한 편의 시가 작품 속에 표현된 언어들은 작자의 사상과 감정을 드러내기 위하여 적합하게 짜여져 있다. 이렇게 본다면 시가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여음이 작품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고려속요가 노래로 불리워졌다는 사실 때문에 여음은 음악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만 논의되어 왔다.
모든 시 작품은 독자로 하여금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감동을 맛보게 함으로써 시로서의 존재와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시적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기 위하여 작자는 시의 표현에서 긴장감을 심화시키기도 하고 완화시키기도 한다. 긴장의 완화란 것은 하나의 시 작품 내에서 호흡이 가빠지거나 시적 울림이 고조되었을 때, 전체의 유기적인 관계는 유지하면서도 긴장감을 풀어주는 것이다. 이에 반해 긴장의 심화는 느슨하게 전개되어 온 시어들을 한층 더 함축성 있게 다듬으면서 마무리 짓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에서 그 긴장의 완화와 심화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1) 긴장의 완화 기능
긴장의 완화라는 것은 시에 있어서 전체적인 유기성은 유지하면서도 시적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긴장감을 느슨하게 풀어주는 것이다. 고려속요의 여음은 연을 구분하거나 표현을 약화시킴으로써 이러한 긴장의 완화역할을 수행한다.
여음은 본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分節性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長形詩로의 발달에 前兆가 되기도 한다. 왜냐하면 본사가 길면 긴 노래일수록 여음이 개재되고 정형화되어서 나타나는 형태가 분연된 연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시는 분절성이라는 여음의 특성으로 인해 형성된 노래라고도 할 수 있다. 곧 여음은 이러한 분절성의 특성으로 인해 시에 있어서 각 연과 연을 구분하고 분리해 주는 기능을 가진다.
2) 긴장의 심화 기능
시에 있어서는 작자의 정서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구조를 느슨하게 풀어헤치는 경우도 있지만 의외의 시작이나 종결 등으로 말미암아 긴장감을 고조시켜 주는 경우도 있다. 여음이 결사의 역할을 하거나 시적 유기성을 이루는 것은 모두 느슨하게 전개되어 온 시어를 한층 더 함축성 있게 다듬으면서 마무리 짓는 긴장의 심화 기능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결사의 역할로서 긴장의 심화를 가져오는 여음은 감탄의 발현에 無意語辭나 악기의 구음이 합성되는 경우가 많고 위치상으로는 모두가 후렴이다. 악기의 구음 차용이 후렴으로 끝난 형태는 노래 불리워지고 마무리 된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대로 고려속요의 여음이 결사의 역할을 하거나 주제를 강화하면서 유기적인 통일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모두가 시어를 함축성 있게 다듬으면서 마무리 짓는 긴장의 심화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3) 율격 형성의 기능
운율이 시에서 갖는 기능은 정신 내부에서 열정의 발동을 억제하려는 의지적인 효력으로 말미암아 결과 되는 평형상태에 있다. Coleridge, 김춘수, 시론, 송원문화사, 재인용.
시가에서 定刑成이 나타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운율감을 주어서 시적 효과를 높이려는 이유 때문이다. 고려속요에서의 여음이 정형성을 맞추기 위해 삽입되어서 시의 율격을 형성해 주는 경우가 있다. 에서도 아름다운 율조의 형성을 위하여 여음을 사용하였다. ‘唐唐唐(당당당) 唐楸子(당추자) 조莢(조협) 남긔/紅(홍)실로 紅(홍)글위 ㅣ요이다’에서 ‘唐唐唐’은 아무 뜻이 없는 여음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다음에 나오는 唐楸子의 唐을 따서 334조의 翰林別曲 형식에 맞춘 것이다. 여음이 이렇게 시행에서의 調音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작품은 , ,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