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

 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1
 2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2
 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3
 4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4
 5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5
 6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6
 7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7
 8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8
 9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9
 10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10
 1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서론
우리는 일반적으로 고려 시대의 시가를 ‘고려 가사’, ‘고려 가요’ 또는 ‘고려 장가’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고려 가요를 , , , , , , 등의 시가군(詩歌群)을 ‘고려속요’라 하고, , , 등의 한문계 시가들을 ‘경기체가’라 하여 크게 둘로 나누고 있다. 같은 고려시대의 시가인데도 불구하고, 그 명칭을 달리 부르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굳이 같은 시대의 작품을 다른 장르로 구분 짓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게 된다.
모든 역사적 장르가 연원기를 거쳐 어떤 계기에 의해 하나의 장르로서의 발생기를 갖게 되고, 그것의 추진 주체로서의 담당층이 적극적으로 향유하게 되면서 발전기와 전성기를 맞게 되며, 담당층의 쇠퇴와 함께 소멸하게 되는 것처럼 고려속요와 경기체가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향가 문학이 쇠퇴한 후 고려의 시가는 평민문학과 귀족문학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고려속요와 경기체가도 고려시대라는 공시적 배경 속에서의 공통점과 함께 고려속요는 고려속요대로, 경기체가는 경기체가대로 고유한 특징을 보이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고려속요와 경기체가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해 봄으로써 두 장르의 성격을 규명해보도록 하겠다.
본론
1. 고려속요 개관
1) 속요의 개념과 명칭
속요란 원래 민간의 노래였다가 고려말기에 궁중으로 유입되어서 불려진 것으로서 고려시대에 우리말로 불리어 지되 속악의 가사로 사용된 시가의 한 갈래이다. 고려가사, 고려가요, 장가, 별곡, 속가 등의 많은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현전하는 속요는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실린 우리말 노래 14편과 『고려사악지』, 『익제난고』, 『급암선생시집』에 실려 있는 한역노래 14편 등 모두 28편이 있다. 그리고 고려속요는 조선시대에는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배척을 받기도 하였다.
2) 속요의 형성배경
고려속요는 원래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던 민요가 궁중의 속악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었다가 한글창제이후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학악보』등에 채록되어 전하고 있다. 또한, 고려가요의 형성배경을 향가로부터 입은 영향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고려속요 형식을 크게 나누면 단연체와 연장체로 나눌 수 있는데, 향가의 작품에서 보면 보현십원가 외의 작품은 모두 단연체 이고, 보현십원가는 연장체 형식을 취하고 있다. 즉 고려속요는 향가의 형식의 연장선상에 있으므로 향가의 전형이라고 볼 수 있겠다.
고려속요는 후렴구가 확실하다. 고려속요의 후렴구도 향가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현십원가의 감탄사 부분이 발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보현십원가는 고려속요의 작품과같이 후렴구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지만 각 연의 “아”라는 감탄사는 향가가 고려속요의 형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에 충분한 근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