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

 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1
 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2
 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3
 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4
 5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5
 6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6
 7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7
 8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8
 9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高麗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
목 차
△ 서론 -장르 구분과 명칭에 대한 논의
△ 본론 -다섯 가지 기준에 따른 비교
1)개념과 장르적 특성
2)형성 과정
3)작자층-수용자층
4)형식
5)내용
△ 결론 -공통점과 차이점 정리
△ 서론 -장르 구분과 명칭에 대한 논의
고려시대의 시가를 지칭하는 방식은 아직 통일된 명칭으로 정립되지 못한 형편이다. 학계에서 통칭하고 있는 방식을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의 노래를 통칭하여 고려가사(高麗歌詞), 또는 고려가요(高麗歌謠), 고려장가(高麗長歌)라 흔히 불러 왔으며 이는 다시 청산별곡(靑山別曲)류와 한림별곡(翰林別曲)류로 크게 나누며 흔히 전자를 고려속요(高麗俗謠) 또는 고속가(古俗歌)라고 하며 후자를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정병욱은 청산별곡류와 한림별곡류를 ‘별곡(別曲)’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자고 주장했는데, 이는 두 부류 간에 형태상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에 반발하는 논지에서는 두 부류의 차이점에 주목하고 있다. 즉, 고려시대 시가 장르 정립에 관한 논란은 청신별곡류와 한림별곡류가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에 엄격히 구분하기도, 그렇다고 한데 묶어 보기도 곤란한 점이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들 간의 공통점은 형식적인 면에 그치고 있는 반면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기에 현재에는 이들을 구분하는 것을 통설로 받아들여지며 각각의 이름도 전자를 ‘고려속요(高麗俗謠)’(혹은 ‘속요(俗謠)’), 후자를 ‘경기체가(景幾體歌)’라고 통칭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고려속요와 경기체가를 ①개념과 장르적 특성, ②형성과정, ③작자층과 수용자층, ④형식 ⑤내용 등 다섯 가지 기준에서 비교해 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략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 본론 -다섯 가지 기준에 따른 비교
1)개념과 장르적 특성
경기체가
고려 중엽 이후에 발생하여 조선까지 이어진 장가의 한 형태로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라고도 한다. 노래 말미에 반드시 “경(景) 긔 엇더니잇고” 또는 “景幾何如”라는 구를 붙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고려 중엽 이후로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주로 한학자들에 의하여 읊어졌는데, 고려시대의 것으로는 고종 때의 제유(諸儒)의 작으로 알려진 『한림별곡』과 고려 말의 안축(安軸)이 지은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이 있다. 처음 발생 시에는 무신들에 의하여 초야로 쫓겨난 문신들이 향락적·유흥적인 생활과 그들 심상(心像)을 읊었는데, 조선시대에 와서는 그 형식을 본떠 조선 건국을 칭송하는 내용을 담기도 하였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에는 한글을 약간 섞어짓기도 하였으나, 그 이전에는 한학자들이 순전히 한문으로 지었다. 따라서 일반대중과는 유리된 일종의 기형적인 문학이라는 평을 받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청산별곡(靑山別曲)』, 『가시리』 등 고려의 속요와 대조를 이룬다. 이들 속요는 일반대중 가운데에서 발달하여 구전되었기 때문에 보통 그 작자를 알 수 없으나 경기체가는 한학자라는 특수층이 한자만으로 지었기 때문에 대개 작자가 알려져 있다. 내용에 있어서도 경기체가는 사물이나 경치를 나열·서술하는 것이 특징인 데 대하여, 속요는 사랑의 노래가 흔하며 사랑도 육감적이고 노골적으로 표현된 경우가 많다.
2)형성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