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공통점, 차이점)

 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공통점, 차이점)-1
 2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공통점, 차이점)-2
 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공통점, 차이점)-3
 4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공통점, 차이점)-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공통점, 차이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Ⅰ. 서론
고려시가(高麗詩歌)란 고려시대 한시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시가군을 말한다. 여기에는 ≪고려사 악지≫에 제목과 배경설화만 전하는 작품이 있는가 하면, 고려시대에 구비전승되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서 ≪악학편고≫, ≪악장가사≫ 등에 정착된 작품이 있고, 고려시대에 익재나 급암 등이 한역한 작품들도 있다. 여기에는 같이 새로운 역사 담당층으로 부상한 상승집단의 득의한 심정을 표출한 시가가 있는가 하면, 이나 등과 같이 서민들의 삶의 애환이나 상사(相思)의 감정을 읊은 시가도 있다. 전자는 고려의 시가 중 순전히 한문화 사회의 지식층에서만 발달한 장가로 경기체가라 하고, 후자는 민요가 상승하여 궁중악에 편입된 민요적인 노래나 서민의 노래로 속요라 한다. 고려 시가는 국문학의 장르 중 가장 이견이 많고 불명확한 개념을 가진 분야로, 속요의 경우 ≪고려사 악지≫의 노래들이 조선 초에 전대의 노래를 정리하기 위해 지방의 민요를 채집하여 정리한 것에 불과하고, 속요는 궁중악으로 전수되다가 조선시대 문헌인 ≪악학궤범≫, ≪악장가사≫ 등에 정착한 일련의 노래들만을 지칭하며, 궁중의 음악전문가나 귀족들에 의한 고급의 시문학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고려시가는 고려시대에 처음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 중기까지 연주되거나 불리어진 노래의 가사 중 동질성을 가진 작품군을 말하는 것으로 류의 속요와 류의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하자.
Ⅱ. 본론
1. 공통점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가 있다. 첫째는 분연체가 주를 이룬다는 것이다. 여러 연이나 장으로 이루어진 작품들이 발달하게 된 이유는 속요나 경기체가의 작품들이 주로 잔치에 사용된 연악(宴樂)이기에 잔치의 흥을 돋우는 기능을 위해 향가와 같은 짧은 형식보다는 일정한 리듬을 반목할 수 있는 첩연의 가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 , 등은 여러 연이나 장으로 발달하지 않고 한 연으로 이루어진 단연체 작품이다.
둘째로는 여음을 들 수 있다. 여음에 대한 명칭도 감탄구 구음(口音) 조율소(調律素) 조흥구 후렴구 반복구 등 다양한데, 이러한 명칭은 여음의 형태와 기능, 시가 본사에서의 위치 등을 고려함 없이 붙인 명칭에 불과하다. 감탄구: 감탄사가 들어있는 구나 행임. 고려 속가에서 ‘아소 님하’가 들어 있는 결사(結詞)가 감탄구이다.
구음: 악기의 의성음이나 주술적인 입타령의 소리이다.
조율소: 조율을 목적으로 하여 가사에 넣은 무의미한 소리 요소이다.
조흥구: 시가의 본 가사의 뒤에 붙는 무의미한 여음. 이 여음에 때로 실사가 들어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