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1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1
 2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2
 3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3
 4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4
 5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5
 6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6
 7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7
 8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동학의 발생
동학은 경상도 경주 지방의 몰락양반 출신인 최제우가 1860년 4월 민간신앙을 바탕으로 유, 불, 선사상을 종합하여 새로 만든 민중종교였다. 그가 동학을 제창한 시기는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 나라 안팎에서 위기의식이 높아지던 때였다. 또 안으로는 봉건사회가 해체되면서 봉건 수탈이 강화되고 민중의 반봉건 항쟁이 끊임없이 일어나던 때였다. 동학은 이러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적 산물이었다. 홍석, “강좌 한국근현대사”, , 1995, 51쪽.
조선조 후기 사회는 부정과 부패, 서양이라는 외세의 위협, 이로 인한 시대적인 혼란이 심화, 확산되던 시기이다. 즉 조선조를 지탱해 오던 유교적 지배 체제가 붕괴하면서 야기된 시대모순의 절정기에 서세동점의 외세 위협까지 가세하는 상황 아래 동쪽 나라 조선에서 동학은 창조된 것이다. 유교적 지배 체제의 모순은 집권 세력의 부패와 함께 삼정의 문란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민생의 삶이 어려워지게 되자 도처에서 민란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서양의 동양 침투는 위기 위식을 더욱 고조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안으로는 유교적 지배 체제 모순을 극복하고 밖으로는 외세의 침입을 비판하여 창도되었다는 것이 동학 창도를 이해하는 일반적인 이해 견해이다.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 2004, 9쪽.
동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봉건 수탈과 억압에 신음하던 농민 대중이 대부분이었다. 동학이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자, 봉건정부는 1864년 3월 최제우를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속인다’는 죄로 처형하고 동학을 서학과 마찬가지로 불법화하여 탄압하였다. 그러나 동학은 2대 교주 최시형에 이르러 더욱 널리 퍼져나갔고, 특히 1880년대에는 삼남지방까지 전파되었다. 홍석, “강좌 한국근현대사”, , 1995, 51-52쪽.
동학은 19세기 후반 조선사회의 위기와 서양 세력이 침투하는 혼란 속에서 보국안민, 광제창생을 내세우며 새로운 이상세계의 건설을 목표로 하여 등장하였다.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천주교에 맞선 동학은 양반사회의 해체기에 농민 대중의 종교가 되면서 반왕조적인 사회개혁 운동의 성격을 띠었고, 그 뒤 3.1 운동을 태동시킨 민족주의 역량을 키우는 등 우리나라 근대사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뒤에 3세 교주 손병희에 의하여 천도교로 개칭되었다. www.korearoot.net
1862년 농민항쟁의 발생계기
1862년의 농민항쟁은 봉건사회 해체기의 사회모순이 전면화 되는 상황에서 발생하였다. 우선 토지의 소유권을 둘러싼 소작인의 대지주 항조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던 사실과 토지의 경영 및 향촌내 유통권 장악과정에서 야기된 부농, 상인, 고리대업자 대 빈농의 이해관계의 대립을 들 수 있다. 이와 함께 국가의 민에 대한 경제적 지배의 표현인 부세제도의 모순과 재지 세력의 불법적인 향촌지배라는 현상적인 문제가 표출되었다.
19세기 사회경제구조의 변동은 끊임없는 농업개량과 농업생산력의 발달, 상품화폐경제의 발전에 의해 야기되고 있었다. 특히 선진적 미작지대이고 유통경제가 크게 발달했던 삼남지역에서 농민층분해는 급속히 촉진되었다. 생산력의 발달에 따른 양극분해현상은 토지 소유의 분화를 심화시켰다. 결국 부익부 빈익빈으로 표현되는 농민층분해로 인해 향촌내 빈부의 차가 심화되었고, 소농경영의 영세화와 자영농민층의 몰락현상이 두드러졌다. 강만길 외,“중세사회의 해체”, , 1994, 105-106쪽.
농촌사회를 피폐화시킨 기본적 요인은 토지겸병과 부세불균에 있었다. 먼저 토지겸병의 문제가 심각하였는데 그 결과로서 농민층이 토지를 상실하게 됨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 현상은 과전법체제가 붕괴되는 가운데 전개되었는데, 17세기에 이르러 절정에 달했다. 토지겸병의 주체는 양반관료, 토호 등 봉건지배층이었다. 이경식, “17세기 농지개간과 지주제 전개”, , 한국사연구회, 1973, 123쪽
그들의 토지집적은 권력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었으므로 이를 금하려 하여도 금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정치적 배려하에서 지주제 운영이 이루어졌다.
봉건사회의 지주제는 법제적, 사회적 신분제와 상응하여 사회의 같은 부세제도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신분제의 대대적인 변화와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에 따라 파행성을 드러냈다. 우선 신축성이 결여된 총액제하에서 변동된 기저의 읍세민정이 반영되지 못한 채 불특정 농민에게 편중 부과되었던 점을 들 수 있고, 발달된 화폐관계에 매개되어 환곡 식리를 통한 농민의 수탈이 급증되는 측면이 나타난다. 강만길 외,“중세사회의 해체”, , 1994, 115-116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