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감상문 시집가는 날

 1  연극 감상문 시집가는 날-1
 2  연극 감상문 시집가는 날-2
 3  연극 감상문 시집가는 날-3
 4  연극 감상문 시집가는 날-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연극 감상문 시집가는 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연극 감상문 - 시집가는 날
연극 “시집가는 날” 을 보았다. 을 보고 간단한 줄거리를 아는 것 역시 중요하다.
우선 작품 은 오영진이라는 정치가이자 사상가로서 문학, 정치, 영화, 연극발전에 다방면으로 출중하였던 예술인에 의해 원작인 를 각색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 연극에는 등장인물로 진사 맹태랑과 갑분이, 입분이, 미언, 맹노인, 한씨부인, 한씨부인 측근, 참봉, 삼돌이..등등이 나오는데 물론 이들 하나하나가 각자의 특색을 가지고 연기를 잘 소화해 내었고 그들이 하는 역할 역할 마다 뜻이 담겨져 있을 정도로, 배역 역시 뛰어 났다. 등장인물중에 다루어야 할 부분으로 진사 맹태랑은 탐욕적이고 권력 지향적이며 허세가 대단한 인물로 그의 부인인 한씨가 저자거리에서 억척스럽게 축척한 부를 이용해 양반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가문의 영달을 위해 신랑감을 보지도 않고 자신의 딸 갑분이를 도라지골 김판서댁과 혼약을 맺게 되지만 정작 갑분이는 엄마 한씨의 심복 종인 삼돌이를 마음속에 품고 있고 갑분이의 몸종 입분이는 맹진사가 억지로 삼돌이와 혼인언약을 맺어 주었으나 종놈과의 혼인은 죽어도 싫다는 생각에 고민이 많았다. 한편, 김판서의 아들 미언은 맹진사의 딸 갑분이의 안 좋은 소문을 직접 확인하고자 도라지 골에서 온 유생으로 변장하고 왔다가 우연히 갑분이의 몸종인 입분이에게 마음을 빼앗기게 되고 맹진사 집안에 사윗감이 고자라는 헛소문을 퍼뜨려 한바탕 소동을 일으킨다. 이에 난감해진 맹진사는 궁리 끝에 갑분이는 피신시키고 대신 입분이를 신부로 꾸며 혼례를 치르도록 계획을 꾸미는 것을 연극을 통해 알수 있었다. 역시 이를 통해 보더라도 미언 역시 입분이를 차지하기 위해 머리를 썼다는 것을 알수 있는 대목이다. 혼례 날, 맹진사댁에 당도한 신랑 미언이 고자는 고사하고 도라지골 유생으로 변장하고 찾아왔던 건장한 청년이라는 것에 크게 놀란 맹진사는 혼례를 미루고 피신시켰던 갑분이를 데려오려 하지만 맹진사의 아버지 맹노인의 재촉으로 미언과 입분이의 혼례가 올려지게 된다. 이 역시 놀라운 일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미언은 이렇한 상황이 올거라고 미리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거기다 설상가상으로 한씨부인에게 혼인 승낙을 받은 갑분이와 삼돌이의 등장으로 맹진사 집안은 또 한번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렇게 줄거리를 통해 그 시대의 반영하는 모습들을 알수 있었다. 나는 내심 연극 을 보면서 이렇한 생각이 들었다. “한여름밤의 꿈”의 허미아와 라이샌더, 헬레나와 디미트리어스가 있지만, 허미아를 의 갑분이와 견주어보니 이미지가 비슷하였다. 둘다 전통적인 가부장제에 얽매이는 것을 싫어하고 본인이 좋아하는 상대를 향해 추구하는 이상형이라는 점 또한 같다. 이렇한 점들을 셰익스피어의 작품인 과 비교해 보니 비슷한 점들이 가부장적인 사회를 그렸다는 점과 주인공들의 성격들이 이라는 작품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성격 또한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작품 내면의 모습들을 알 수 있었고 이 역시 많은 도움이 되는 부분이 었다. 이라는 작품을 들여다보면 우선 배우들로는, 정보석이 출현하여 관객들에게 좀 더 친근한 이미지를 보여주어 청중들 역시 정보석의 연기에 또 한번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가 출현한 작품만 하더라도 셀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그중에서도 몇편을 꼽자면 영화로 , , , , 등이 있고 드라마로는 현재 방영되고 있는 이 있고, 그 외로 , , , , , , 와 연극으로 , 등등이 있다. 그를 화면에서 보고 직접 연극을 통해 만나보니 화면보다 실물이 훨씬 낫다고 할 정도로 더욱 친숙한 이미지로 다가 갈수 있었고, 그의 행동 하나하나가 오랜 경험에서 배어 나왔다고 할 정도로 정말 훌륭한 연기였다. 맹진사 역으로는 한때 폭행문제로 이야깃 거리로 오고가서 한동안 보이지 않다가 최근에 와서 연극 을 통해 다시 볼수 있게 되어 정말 반가웠다. 그는 한때 영화들로 , ,, 와 TV로 , , 으로 김정균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고 할 정도로 재미있고 가끔 진지한 이미지로 안방 드라마에서 단골 메뉴로 나온다고 할정도로 유명한 배우이다. 그가 이번 연극에서 맹진사 역할을 톡톡히 소화해 내었다. 가끔 지루한 부분이 나온다 하면 그가 나와서 웃음을 자아낼수 있는 부분들을 자아내어 관객들에게 좀 더 가깝게 다가 갈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나 역시 김정균에게 팬이 되었다. 그는 연극 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배우중의 하나로 감초역할을 잘 해내었다. 나는 두 배우중 인상 깊었던 점이 극중의 미언이라는 정보석이 남자다운 모습을 보여준다고 바위를 들며 으쌰으쌰 하는 장면이 나를 비롯해서 청중들에게 쉽게 각인시켰을 것이다. 그 장면으로 인해서 작품이 어떻게 짜여지고 첫 부분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놓치지 않는 것 역시 중요하였다. 어떤 작품이든 처음에 나오는 부분을 보고 전체 부분을 좌우한다고 하지 않았는가? 이 연극 역시 그러하였다. 연극의 원작 는 가히 우리나라의 희극에 꼭대기에 설만큼 많이 알려졌던 작품이었다. 강력한 플롯, 스피디한 전개, 그 전개를 통해 드러나는 인물들의 무리 없는 확장, 더구나 한 집안의 결혼이야기가 당시도 그렇지만 오늘 날에도 유효하다 할 만큼 사회계급간의 문제로 확장해내는 솜씨는 실제상황과 같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게 실감 났다. 또한 그 결을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작가의 펜 끝은 의도보다 먼저 재미로 다가가는 이른바 쟁이의 가장 기본적인 격이었다. 이를 통해 느낀 것이 요즈음은 희극의 시대인것 같다. 마치 관객은 세상의 참혹한 현실은 연극보다 먼저 뉴스를 알게 되고 있으니 그것 말고 다른 얘기를 해달라는 듯 하는데 그것도 몸으로 겪고 싶어 하는 듯이... 그래서 희극이 적당한 형식이라고 생각한다. 웃음속에 비수라는 우리의 기본정서는 이러한 희극과 만나 몸으로 사유하는 연극의 또다른 맛을 창출하게 된다. 그것이 작가 오영진씨의 원작가 이라는 각색을 통해 다시 사랑받는 이유가 아닌가 하고 생각하게 된다. 의 원작자인 오영진씨는 1916년 12월 09일에 출생해서 1974년 10월 29일 눈을 감으셨고 58세의 나이에 돌아가셨다고 한다. 오영진씨는 생애를 정치가이자 사상가로서 문학이며 정치, 영화, 연극 발전에 기여했던 예술인으로 살았다고 한다. 그에게 있어 민족주의 사상은 작품을 통해 전통의 수용과 재창조라는 형식으로 표출하게 된다. 오영진씨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관혼상제 및 구비설화를 모태로 한 의례 삼부작 , , 과 고전소설을 모태로 한 시나리오 , 및 희곡 이 있다. 한편 , , 와 같은 작품은 전통소재 작품들 보다 문학성과 철학성에 기반하여 민족주의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주장하기도 하였다. 특히나 작가 오영진씨는 전통적인 문화에서 소재를 택한 작품을 즐겨 쓰셨는데, 주로 권선징악을 주제로 전통적인 해학과 함께 교훈적 의미를 전해 준다.
연극을 통해 보고 느꼈던 점은, 재미도 있었지만 이를 통해 현대에 급박한 삶의 변화를 통해 이렇게 잠시나마 연극이라는 작품을 가지고 스트레스도 해소하고 이쪽으로 뭔가를 기댈수 있어서 더욱 의미가 있는 작품이 었다. 무엇보다 이 연극이 수원여자대학이 40주년 행사의 대미를 장식할 국립극장에서의 연극공연 을 보여주는 거라 더욱 의미가 깊었다. 수원여자대학은 개교 40주년을 기념해서 창작공연예술 연구소와 극단마고가 국립극장에서 공연하는 거라고 하니 마침 축하도 해줄겸 갔다는 기분이 들어서 내심 좋았다.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공연하는 거라고 하니 그들이 학교생활을 하면서 이루었던 업적들을 공연자리에서 어김없이 보여준다는 것이 그들에게 있어 역시 자부심과 뿌듯함이 있다는 것은 이루 말할수 없을 것이다. 비평을 쓰면서 연극을 좀더 자세히 할수 있어서 이 역시 나에게 또다른 좋은 경험이 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극 뿐만 아니라 어느 연극을 보더라도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어떤 식으로 작품이 구성되어 왔으며 어떤 느낌으로 와닿았는지를 알아 보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