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부동산 전망 긍정적 견해

 1  향후 부동산 전망 긍정적 견해-1
 2  향후 부동산 전망 긍정적 견해-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향후 부동산 전망 긍정적 견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내년 부동산시장은 2013년에 이어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물경기 침체와 맞물린 주택경기 악화가 지속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하반기쯤이라도 경기회복 조짐이 보인다면 동반 회복세를 나타낼 수는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경기불황이 단기간에 그치지 않고,적어도 2~3년 이상 장기화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이렇게 본다면 새해 부동산시장의 회복전망은 상반기를 지나봐야 확실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내년 부동산시장은 정부의 규제완화와 부양책 여부에 상관없이 상반기까지는 침체상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예측이다.
●기존 주택, 하반기부터나 회복 조짐
기존 주택시장의 경우 과거 가격안정을 위해 묶어뒀던 규제가 완전히 풀린 상태다. 재건축, 세제, 분양권, 금융부문 등 전 방위적으로 해제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특히 투기과열지구 해제로 과거 부동산 투기의 온상이었던 분양권시장까지 전매가 허용됨에 따라 약간의 경기회복 조짐만 보여도 투자자들이 움직일 수도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또한 2008년 풀었던 규제들이 연초부터 대부분 시행단계에 들어간다. 이로써 하반기부터는 주택시장을 덮고 있는 `침체 구름`이 서서히 걷힐 수 있을 것이란 게 상당수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금리인하 기조와 대출규제 완화 등의 금융환경변화도 기존 주택시장에는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해 입주물량이 2008년보다 감소할 전망이어서 이 조건도 집값이 상승 반전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2009년 전국의 입주예정 물량은 18만8776가구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2008년 27만5180가구보다 30%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특히 서울은 2008년에 4만9626가구에 달했으나, 새해엔 2만여가구로 절반에 불과하다.
그러나 입주물량이 곧바로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보기에는 무리일 수 있다는 지적도 강하다. 현재 투자심리 위축은 단순히 공급과잉만이 원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경기불황과 고분양가,실물경기 침체 등 부동산시장 외적인 요소가 워낙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탓이다. 더욱이 전매제한 완화는 매매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수도 있고, 악재가 될 수도 있다. 분양권 매물을 증가시켜 기존 주택시장에 공급초과 현상을 불러올 수도 있다. 다만 정부가 올해보다 더욱 강력한 부양책을 내놓을 공산이 커서 이 부문이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으면서 기존 악재를 상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하반기부터 서서히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신규 분양시장,지역따른 양극화
분양시장 침체는 2014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세금완화 등 신규주택 취득에 대한 규제가 크게 완화되긴 했지만 금융위기에 따른 실물경기 침체,고분양가,공급과잉 등의 여파로 매수심리가 꽁꽁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호재도 있긴 하다. 지방은 물론 수도권에서도 신규분양주택에 대한 전매금지기간이 대폭 완화된 것은 가수요 유발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새해에 공급될 광교ㆍ한강ㆍ교하 신도시 아파트 등이 수요자들의 발길을 끌어모으면서 분양시장의 불씨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양가 인하도 분양시장의 열기회복에 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새해 분양시장은 분양가와 입지여건에 따라 수요자들이 몰리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제1 변수는 실물경기
전문가들은 올해 부동산 시장을 좌우할 최대변수로 실물경기를 꼽았다.
두성규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올해 상반기 실물경제가 회복될지 여부가 중요하다"며 "상반기 중 경쟁력 제고, 구조조정 등을 통해 산업 체질이 개선되면 L자형 침체를 서서히 벗어나 완만한 회복 기미를 보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금융위기가 산업계로 전이되는 시점을 올해 1~3월로 가정하면 건설, 조선, 자동차 등 고용인력이 많은 산업에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가계소득이 줄면 실물경기 전반과 부동산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인데, 이 같은 체질개선 작업이 성공한다면 서서히 회복세를 띨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또 현 상태에서는 경기 침체로 투자할 여윳돈이 없기 때문에 금리가 내려가도 실수요자가 시장에 참여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