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

 1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1
 2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2
 3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3
 4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4
 5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5
 6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6
 7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7
 8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8
 9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9
 10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10
 11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11
 12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12
 13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13
 14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14
 15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론조사] 신문기사에서의 통계의 오류에 관한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통계조사

1) 신문기사에서 잘못 사용된 통계와 오류

(1) 비교기간이 잘못 된 경우

① 통계에서의 각 비교 구간이 잘못 설정 된 경우

② 비교하려는 두 통계의 구간이 다른 경우

③ 비교하려는 통계의 구간의 기간이 다른 경우

(2) 조사 대상이 잘 못된 경우

① 기사 1

② 기사 2

2. 실험 연구(experimental research)

1)실험연구의 특징

2) 실험연구의 기본 특성

3) 실험연구에 관한 기사와 문제점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현대는 여론조사(public opinion survey)의 홍수시대라고 할 수 있다. 1824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된 여론조사는 이후에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사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어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여론조사는 1972년 리스피아르 조사연구소의 설립과 1974년의 한국갤럽 연구소 등이 생긴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활발하게 여론조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는 1987년 12대 대선 전후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계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나 15대 총선 때의 여론조사가 실패하면서 아직 그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론조사의 관한 법령으로 58년 제정된 선거법에서는 누구든지 선거에 관하여 낙선 또는 당선을 예상하는 인기투표를 할 수 없다는 관련 조항 이후 여론조사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87년에 선거 공고일 이전에는 여론조사의 실시와 공표를 허용하도록 개정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 많은 선거를 거치며 관련 기관들과 국민들의 요구에 따라 여론조사 허용 시기를 점차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다.
여론조사에 대한 보도가 날로 발전하면서, 여론조사에 대한 시각도 다양화 되었다. 여론조사에 대해서 여론조사가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관점과, 단순히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관점, 그리고 여론조사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이 있다.
우리 조는 이번 신문지상의 여론조사와 통계에 대한 오류를 찾아내는 위와 같은 어떤 관점에 치우치기보다는 보도의 내용과 통계 혹은 여론조사의 내용이 일치하는 것인지, 혹시 잘못된 통계를 쓰지 않았는지에 대해서 주로 살펴보았다.


Ⅱ. 본론

1. 통계조사(statisical survey)

통계란 직접관찰이 불가능한 어떤 실재를 이해하기위해 실재를 반영하는 자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확률에 근거하여 실재에 관해 추론하는 것이다. 유태균 저(2006). 사회복지 자료분석의 기초원리. 서울:공동체.
하지만, 우리는 알기를 원하는 실재를 직접 관찰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며 설령 가능하더라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실재를 반영하는 자료를 분석하여 실재를 알고자 한다. 여기서 실재를 반영하는 자료가 바로 표본이라는 것이다. 표본은 우리가 알고자하는 모집단의 특성을 가진 모집단의 부분집합과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보는 통계는 우리가 알고자 하는 대상을 추정할 수 있는 믿을 수 있는 자료를 통한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통계를 가장 가까이 접할 수 있는 신문에서 조차 우리는 제대로 된 통계를 접하기가 어렵다. 통계는 우리가 알고자 하는 모집단을 반영해야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전제도 지키지 않은 통계들이 신문지상에서 마치 자신들이 실재와 사실인 듯 그것을 가장하고 있다. 우리는 신문지면 상에서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통계들에 대해서 찾아보았다.

1) 신문기사에서 잘못 사용된 통계와 오류

(1) 비교기간이 잘못 된 경우

① 통계에서의 각 비교 구간이 잘못 설정 된 경우

다음은 한겨레 21의 11월 7일자 이라는 제목의 기사이다. 이 기사를 편집한 것은 아래와 같다.
“양심적 병역거부란 말은 잘못됐다. 이것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비양심적이란 말이냐… 양심의 자유와 평화를 내세워 국가 안보에 대해 부정하는 것에 1%도 동의하지 못한다.”
…………………………………
이날 새로운 관점의 발제문도 나왔다. 한국은행 정책기획국 민준규 박사는 발제문 ‘양심적 병역거부의 경제학’을 통해 국가규제(처벌)와 병역거부에 실증적으로 접근했다. 민 박사는 “병역거부 문제에 대해 그동안 규범적·이념적 논의에 치우쳐 있었다”며 “미시경제학적 접근을 통해 실증적 분석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우선 그는 병역거부자 처벌 강도(수감 기간)가 달랐던 시기를 5개로 나누어, 각 시기마다 병역거부자 수를 비교했다. 이 통계를 보면, 병역거부자 수감 기간이 1980~93년 평균 23.4개월에서 1994~2000년 35개월로 늘었지만, 병역거부자는 연평균 205명(1980~93년)에서 566명(1994~2000년)으로 오히려 늘었다(그래프1 참고). 이렇게 형량을 늘려도 병역거부자 수는 줄지 않았고, 형량을 줄여도 병역거부자 수는 늘지 않는 ‘비탄력성’이 드러났다. 민 박사는 “이렇게 병역거부자 처벌은 범죄 예방효과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 신윤동욱 기자 syuk@hani.co.kr
밑 줄친 부분을 중심으로 보면, 이 통계는 병역 거부자 수감기간에 따른 병역거부자수의 증가를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병역 거부자 수감기간에 따라 기간을 구분한 것은 병역 거부자 수감기간과 병역거부자 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에는 편리하다. 그러나 그 기간이 1950년에서 1953년까지는 4년 동안의 병역거부자수, 1955년에서 1972년까지는 18년 동안의 수, 1973년에서 1979년 사이는 7년, 그 다음 구간은 14년, 7년, 7년 동안의 병역거부자 수를 서로 비교하고 있다. 이 통계에서는 구간을 병역거부자 수감기간에 맞춰서 설정하려고 한 것이 문제점으로 보인다. 수감기간에 맞추어 구간을 나눔으로 인해 각 구간간의 간격이 맞지 않게 되고, 이는 비교구간이 서로 같지 않아서,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없게 만든다. 그리고 각 구간의 기간이 길수록 병역거부자 수가 누적된 것이므로, 병역거부자의 수감기간에 따른 병역거부자의 증감을 모두 나타내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증가만을 나타내기 위해서 구간을 위와 같이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위의 통계에서 실제로 1973~79년 구간과 1980~1993년의 구간은 병역거부자 수감기간이 같다. 그러나 1973~79년은 7년 동안의 병역거부자수이고, 그 다음 구간은 14년 동안의 병역거부자 수이다. 14년 동안이면 7년의 두 배이다. 하지만, 두 배의 기간 동안 병역거부자는 두배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다면 똑같은 7년의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1980년에서 1993년의 구간은 병역거부자수가 감소하였던 때로 나타나야 한다. 또한, 이 구간 뿐만 아니라 모든 구간의 간격을 똑같이 맞추어야만 병역거부자 수감기간과 병역거부자 수의 증감이 제대로 될 수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② 비교하려는 두 통계의 구간이 다른 경우 - 1

다음은 한국경제신문의 10월 27일자 이라는 제목의 기사이다. 이 기사를 편집한 것은 아래와 같다.
경기침체 여전 … 매수심리 회복은 미지수
금리 파격 인하… 주택시장 영향은
………………………………
◆신규 분양시장엔 일단 '단비'

건설업계는 한은의 이번 금리 인하를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집을 살때 대출이자 부담이 줄면서 당장 연말 신규 분양시장에 실수요자들의 발길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돼서다.

미분양 공포에 시달리는 건설업계는 이 정도도 '가뭄 속 단비'라는 반응이다.
한국주택협회 김동수 실장은 "금리 상승이 주택시장 냉각의 한 요인이었는데,상당한 수준의 금리 인하가 단행된 만큼 신규 분양시장엔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의 두성규 건설경제연구실장도 "정부의 금리 인하 및 사회간접자본 확대는 부동산 및 건설업계에 긍정적 요인"이라고 해석했다.

◆기존주택 거래시장엔 미풍

기존 주택시장에는 금리인하 효과가 신규 분양시장에 비해 미미할 것으로 전망됐다. 금리만 놓고 보면 이번 조치가 거래 활성화에 큰 호재다. 하지만 급격한 침체기에는 매도.매수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주는 정도 말고는 지나친 기대를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

신한은행 고준석 잠실갤러리아 지점장은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하는 정상적인 시장 같으면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겠지만 현재의 주택시장에는 '불쏘시개 역할' 정도에 그칠 것"으로 평가했다.

이번 금리 인하로 '처분조건부 대출 주택 소유자'와 기존 주택이 팔리지 않아 고민하던 일시적 2주택자들도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대출이자 부담이 줄고, 집을 팔 수 있는 기회도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소형주택 관심둘만

실수요자들은 금리 인하로 내달부터 공급될 신규 분양시장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일단 중도금 대출이자가 예전에 비해 크게 낮아질 것이고,기존 주택에 대한 금리도 낮게 쓸 수 있기 때문.지역별로는 서울 재건축 단지 내 일반분양분과 수도권 택지지구 내 소형 아파트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요즘 분양되는 단지는 대부분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아서 분양가가 기존 시세보다 낮게 책정되기 때문에 실수요자들은 입지.교통 여건을 따져서 청약에 나서볼 만하다.

박영신 기자 yspark@hakyung.com

이 기사를 보면 한국은행은 10월 27일자로 금리를 추가로 한번에 0.75%를 인하함으로써 이에 연동되는 주택 담보 대출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부담이 줄어들어, 주택 매물이 줄어들고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을 사람도 늘어나서 주택 시장 활성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워낙에 경기가 안 좋아서 이에 따른 효과가 있을지 의심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 기사이다. 가시자체에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기자가 전문가와 기관의 견해를 이용하여 기사를 낸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문제는 증거로 제시된 두 그래프이다. 왼쪽의 주택 담보 대출 금리 추이를 보면, 2008년 8월 첫 주부터 10월 27일까지의 대출 금리 추이를 선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좌측의 그래프가 8월 첫 주부터 10월 27일까지의 주택 담보 대출 금리의 추이를 나태나고 있다는 점이다. 10월 첫 주 들어서 그래프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은 아마도 미국 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안 좋아지고 이에 따라 금융 유동성 확보가 시급한 시장 상황을 반영한 결과이다. 그러나 우측의 전국 아파트 실거래 추이를 보면, 2007년 9월부터 200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