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

 1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1
 2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2
 3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3
 4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4
 5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5
 6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6
 7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7
 8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8
 9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9
 10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10
 11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11
 12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12
 13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13
 14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14
 15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학교 영어정책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97년학년도부터 실시된 초등학교 영어교육이 시작한 지 올해로 7년째로 접어든다. 초등영어교육의 열띤 찬반 의견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우리의 현실은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불가피해졌다.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언어로써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고 질 높은 문화와 삶을 누리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영어를 알아야 한다는 시대적 흐름과 언어습득이론에 근거하여 사람이 언어를 가장 잘 배울 수 있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는 조기영어교육의 의견이 맞물려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정규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개략적으로나마 우리나라초등영어교육의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2001년도부터 실시되고 있는 7차교육과정과 6차교육과정의 차이점, 7차의 주된 내용과 현재 7차 교육과정에서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는 초등학교영어의 문제점과 대안점을 제시한 다음 교육과정에서 더 나은 교육과정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1.1.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가르치는 일에 대한 논의는 사실상 1950~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일부 사립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쳐 온데서 그 시발점을 찾을 수 있다. 1982년 이후부터는 대다수의 공립 초등학교에서 4학년부터 영어를 특활교과로 가르쳐 왔다. 그러는 동안 특활영어를 가르치는 학교의 수가 점차 늘고, 영어를 교과로 가르쳐야 한다는 요구가 많아졌다. 그리하여 1992년에 개정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1996년부터 영어를 학교재량으로 가르치게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다시 세계화에 따른 문호의 개방과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1997부터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영어를 의무적으로 가르치도록 획기적으로 언어정책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에는 3, 4학년, 1999년에는 3, 4, 5학년, 2000년에는 3, 4, 5, 6학년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1995년에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이 제정공포되어 초등학교 영어교육이 현재 실시되고 있으며 2001년부터 새로운 체제의 교육과정이 시행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2. 조기교육주장론
어린 아이가 어른보다 외국어를 보다 쉽게 배운다는 것을 오래 전부터 관찰되어 왔다. 그래서 에라무스, 몽테뉴, 로크와 같은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조기 외국어 교육을 찬동하는 입장이었다. 1950-60년대서 와서는 어린 아이가 어른보다 외국어를 보다 빨리, 그리고 보다 쉽게 배운다고 하는 ‘최적 연령설(optimal age theory)’ 혹은 ‘결정적 시기설(critical period theory)등 조기언어교육의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언어 습득 장치 (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가 생득적으로 존재한다는 가설과 4-10세 사이가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라는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Chomsky, Slobin, McNeil 등은 어린이는 언어에 관한 한, 모국어이든 외국어이든 그 언어에 노출만 시켜주면 쉽게 그리고 빨리 그 언어를 배워버린다고 가정하였다. 그들은 이것이 생득적인 LAD에 위해서 가능하다고 하였다. 이들은 이 LAD를 ’설명할 수 없는 블랙박스‘라고 일컬음으로써 분석 연구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2. 본론
2.1 제6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차이점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 과정은 제6차 초등학교 영어 교육 과정의 기본 정신과 근간은 유지하면서 다음과 같이 보완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는 열린교육의 기반 위에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을 권장한다. 학교는 즐거운 곳, 영어는 재미있는 과목이 되고, 그래서 영어시간이 되면 학생과 교사간의 벽이 허물어지고 친밀한 공감대가 이루어져야 영어를 터뜨릴 수 있어야 한다.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은 소집단/ 개별화 지도(group work/individual teaching) 방법으로 학생의 수준 차이에서 오는 학습 부진 요인을 제거하여 학생 모두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려는 학습 방법이다. 모든 학생들이 같은 내용을 같은 속도로 배우는 일체식 수업(whole class teaching)은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제7차 교육 과정의 핵심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3, 4학년의 주당 수업 시수 1시간만으로는 심화/보충 수업 운영이 어렵다고도 할 수 있겠으나,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수업 시수를 줄인 것은 재량 활동 시간 확대에 따른 조치였다. 학교 여건에 따라 재량 활동 시간을 영어 시간으로 확보하면 부족한 시간이 보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제7차 초등학교 영어 교육은 수요자의 흥미, 관심, 욕구를 존중하는 학생 중심 교육 과정이 되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교육 내용을 선택하는 일은 교육 수요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교육 공급자인 국가, 교육청, 학교, 교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어 왔다.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란 학생이나 학부모가 원하는 대로 들어주는 교육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배우는 학생의 관심과 흥미, 욕구를 존중하고 수준을 고려하여 그들이 기지고 있는 잠재력과 창의력을 최대한 구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교사에게는 자율권을, 학생에게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제7차 초등학교 영어는 제6차 초등학교 영어 교육 과정과 마찬가지로 어린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활동/놀이 중심으로 성취 기준(학습 내용)을 구성하여 음성 언어를 터득한 후에 문자 언어 교육으로 들어가도록 하였다. 음성 언어 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이 음성 언어 교육을 너무 소홀히 해 왔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듣기와 말하기 교육을 많이 시켜 문자 언어 교육 수준으로 끌어올리자는 의도이지, 음성 언어만을 강조하자는 취지는 아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