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공간의 역사 철학

 1  해방공간의 역사 철학-1
 2  해방공간의 역사 철학-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해방공간의 역사 철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방공간은 1945년 8월 15일에서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까지이다. 이 때의 역사철학은 나라찾기와 나라만들기가 혼재된 상태인 과도기적인 것이었다. 여전히 외부세력인 미국과 소련의 군정 밑에 놓여 나라 찾기가 이어졌다. 또 세계 질서의 재편성에 힘입어 나라만들기의 전망이 썩 뚜렷하게 드러났다.
2. 해방공간에서의 문학노선
해방공간에서의 문학은 민족문학 건설로 수렴하는 것이었다. 민족문학 건설의 과제는 나라만들기와 직결되는 것이다. 해방공간의 문학은 세 가지 문학 노선을 에워싸고 조직이 이루어졌다.
ⓐ북로당문학 노선 : 이것은 북조선예술총연맹(1946.3)을 가리키는 것으로, 소련 군정 문화담당관 꾸세프와 김창만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문학에 있어서의 당파성을 근간으로 하는 것이다.
ⓑ남로당문학 노선 : 1946년 10월에 월북한 박헌영은 해주의 제 1인쇄소에다 선전 본부를 두고 남로당을 총지휘했고, 1947년 임화가 거기에 합류했다. 남로당의 민족문학론은 시민성을 토착자본계급의 이념이라 보고, 인민성을 내세웠다. 여기서 인민성은 노동자계급이며, 이것을 다른 계급으로 확산시키고자 했다. 이와 같은 인민적 민주주의로서 민족문학은 좌우합작 노선에 가까운 것이었다.
ⓒ우익 노선 : 전국문필가협회의 외곽단체인 조선청년문학가협회는 우익 민족문학 단체였다. 김동리로 대표되는 구경적 생의 형식으로서의 문학관은 문학하는 것이 인간의 운명에 관련된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점을 충격한 이론이었다.
3. 해방공간의 시
시는 체험의 직접성과 호흡의 급박성으로 미국 소련 점령군과 한민족 사이에 벌어진 혼란과 갈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었다. 은 해방으로부터 각 지면에 발표된 시들을 광범위하게 모은 것이다. 이것은 추도시적인 진혼곡 형식이며 낭송시적 성격이었다. 은 문학가동맹의 준기관지 격인 에서 출간했다. 권한, 박세영, 박아지, 윤곤강 등의 작품 서너 편이 골라져 묶여 있었다. 이것에서는 각 시인들의 투쟁경력이라든가 소속계층 및 세계관의 일단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한편 본질과 현상이 분리되어 매개항을 찾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정지용은 8·15 해방을 혁명적 성격으로 파악했는데, 이는 변증법적 인식이 결여된 정지용의 한계로 정지용이 해방공간에서 시를 쓰지 못한 이유이다. 또 김기림은 , 등에서 터무니없는 낙관주의와 모더니즘의 경박성이라는 한계를 보였다. 이는 김기림이 우리 사회의 역사성, 사회성을 제대로 알지 못했기 때무이다. 설정식은 청춘, 열정, 예지 등의 선명한 이미지를 창조하여 혁명적 낭만주의 성향을 보였지만, 과학이 아닌 심증적인 것이어서 허무주의로 치닫게 되었다.
4. 해방공간의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