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

 1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1
 2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2
 3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3
 4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4
 5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5
 6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6
 7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7
 8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8
 9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9
 10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10
 11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체육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동안 우리는 흔히 체육을 ‘기능 중심 교과’라는 말로 불러 왔다. 이러한 인식 때문에 초중고등학교 체육의 목표와 내용뿐만 아니라 평가에 이르기까지 운동 기능은 핵심적으로 평가되어 왔다. 체육과 목표에도 운동 기능 습득이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내용 체계표를 보더라도 해당 활동 및 스포츠 종목의 기능을 익힌다는 내용이 언제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안양옥, 2004, 유정애, 2005). 이는 “신체 활동을 통하여 체덕지를 고루 갖춘 ‘전인적’ 인간을 양성한다.”는 이상적인 교육적 가치 목표와 상반되는 것으로, 체육 교육에 대한 일반인들의 고질적인 편견과 오해를 고착화시키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어 왔다.
그러나 체육 교과는 단순히 기능만을 가르치고 습득하는 교과가 아니다. 신체 활동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고, 이를 통하여 건강 및 체력, 스포츠 정신과 공동체 의식,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력, 신체 문화 인식 등의 능력을 갖춘 인간을 육성하는 ‘수행 중심 교과’ 수행 중심 교과(performance-centered subject)는 학습자의 기능과 더불어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지적, 정의적 측면을 모두 교육과정의 결과로 아우르는 통합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기능 중심 교과에서는 각각의 수업 장면과 평가의 장면을 명확히 구분하는 수업 체계를 지니고 있지만 수행 중심 교과에서는 교수 활동과 평가를 일련의 연속적인 교육 활동으로 인지하는 수업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수행 중심 교과적 시각의 접근 방법을 사용할 경우, 체육 수업 중의 기능 수행과 이를 통한 인지적 학습 및 정의적 성과를 모두 교육의 성과로 추구함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체육 교과의 참된 교육 목표를 온전히 반영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우리는 그동안 체육 교과를 기능 중심적 시각으로 바라본 결과 체육 교과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교육적 가치와 효용성은 무시한 채 단순히 기능 위주의 주변 교과로 치부해 버리는 그릇된 결과를 초래하고 만 것이다(임미경 외, 2003, 안양옥, 2004,)
이다. 즉, 체육의 이러한 수행 중심 교과적 특성과 의미를 담고 개정을 시도하는 것이 바로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이다. 결국 이것은 기존의 ‘운동 기능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신체 활동 가치 중심’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향적(前向的)인 변화를 시도하는 매우 중대하고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과거 중등 체육 위주의 내용 구조와 논리가 지배적으로 작용해 왔던 초등학교 체육 교육과정의 참다운 정체성을 되살려 초등 체육 교육의 정상화를 마련할 수 있는 문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운동 기능 중심 교육과정
신체 활동 가치 중심 교육과정
그림 Ⅰ-1 : 체육과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변화
나. 체육과 내용 기준의 역할 강화
지금까지 체육과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content)을 체육 수업 차원에서 다루는 수업 내용(instructional content) 또는 수업 활동(instructional activities)으로 동일하게 인식하여 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내용과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내용은 서로 다른 역할과 책무를 가지므로, 동일하게 인식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은 1개이지만, 전국의 초등 교사 숫자만큼의 교사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는 교사가 운영하는 교육 내용을 모두 포괄해야 하는 역할과 책무를 지녀야 한다.
이는 체육 수업에서는 축구형 게임, 농구형 게임, 체조, 육상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 종목을 수업 내용 또는 수업 활동으로 다룰 필요가 있지만,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은 내용 기준(content standard)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은 수준 내용이나 수업 활동보다는 광범위하고 높은 수준의 내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내용은 교사 수준의 내용 선정과 조직의 지표 또는 방향성 안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체육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축구형 게임(게임방법, 기본 기능 및 게임 전략 등)은 수업 내용 또는 수업 활동으로 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신체 활동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현상(활동의 의미와 특성, 운동 수행 방법, 운동과 건강의 관계, 체력 관리, 운동 문화 등)은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 내용의 기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은 축구형 게임, 농구형 게임, 체조, 육상 등의 구체적인 운동 종목 자체보다는, 모든 신체 활동을 포괄하는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개념, 사실, 원리, 수행 방법 등으로 설정 됨으로써 내용 기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표에 제시되어 있는 대영역(건강 활동, 도전 활동, 경쟁 활동, 표현 활동, 여가 활동), 중영역(도전 활동의 경우 기록 도전), 소영역(도전 활동의 경우 속도거리 도전), 그리고 내용 요소(도전 활동의 경우 의미와 특성, 기본 기능, 끈기 등)는 필수적으로 지도해야 하는 내용 기준임을 숙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