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의 수학교육1

 1  개화기의 수학교육1-1
 2  개화기의 수학교육1-2
 3  개화기의 수학교육1-3
 4  개화기의 수학교육1-4
 5  개화기의 수학교육1-5
 6  개화기의 수학교육1-6
 7  개화기의 수학교육1-7
 8  개화기의 수학교육1-8
 9  개화기의 수학교육1-9
 10  개화기의 수학교육1-10
 11  개화기의 수학교육1-11
 12  개화기의 수학교육1-12
 13  개화기의 수학교육1-13
 14  개화기의 수학교육1-14
 15  개화기의 수학교육1-15
 16  개화기의 수학교육1-16
 17  개화기의 수학교육1-17
 18  개화기의 수학교육1-18
 19  개화기의 수학교육1-19
 20  개화기의 수학교육1-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개화기의 수학교육1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개화기의 수학교육
1895 - 고종의 교육조서 - 서당교육의 탈피 - 서양식의 근대적인 교육제도에 접근
한성사범학교 - 교원양성기관 - 입시과목에 수학이 포함되지 않음 - 본과(속성과) - (조선지리, 조선역사) 국문과 한문의 독서와 작문 - 그 이전에 한국의 교육에서는 수학이 제외 된 듯
소학교령 - 소학교에서 ‘산술’지도 - 가감승제, 소수의 계산법, 도량형, 화폐, 시각, 필산, 주산, 비례문제, 분수 - 설립초기에는 활기를 띠었으나 시설미비와 교사부족으로 서당과 대동소이
일제 시대의 수학교육
1906 - 보통학교령 - 4년제 - 범자연수/분수/소수의 가감승제, 도량형/화폐/시간계산
1910 - 한일합방이후에도 큰 변화 없이 지속됨 - 산술영역에 치중 - 사칙계산위주
1924 - 미터법 실시로 흑표지 산술교과서 부분수정
일제 시대의 수학교육
1930년대 - 수학교육개혁운동의 영향으로 녹표지 산술교과서 출판
1941 - 전시비상체제 - 산술에서 산수로 개명 - 응용수학의 색채
독일영향 - 이과와 통합된 교과로 인식 - 유용한 도구로서의 수학, 문제해결능력,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조작활동과 사고활동의 중시 등 - 당시로서는 매우 발전된 선진교육
군정기의 수학교육
1945 - 미군청정 문교부 - 교육심의회 조직 - 교수용어의 한국어화, 일본교과서사용금지
1946 - 국민학교 산수과 교수 요목 발표 - 해방전의 내용과 대동소이 - 단순한 실용에 치중, 내용이 과다하고 어려움 - 목표와 영역 구분 없이 지도내용만 나열 - 일상생활에 필요한 수량적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기른다 - 48년 이후 사실상 의미를 상실하지만 전쟁으로 인해 교육과정이 나오지 못하고 55년까지 그대로 이용됨
교수요목기
초등셈본 - 해방 전 교과서와 대동소이(49, 50년에 수정 보완됨)
학년별로 설정된 교수요목들이 직접적인 관련성 없이 나열되어 있어서 내용의 위계를 알아보기 어려움
40%의 일인교사의 공백 - 교원의 질적 저하초래 - 해방 전 내용보다 수준을 낮춤 - 아동의 심신발달에 비하여 너무나 무리하고 높은 수준 - 이해와 숙달의 충분한 기회부족 - 계통성의 상실 - 수학의 유용성과 실용성을 습득하는데 실패
1차 교육과정(생활단원학습기)
1949 - 교육법 제정, 6-3-3-4 학제
1953 - 교육과정 제정합동위원회에서 교육과정 제정 - 55년에 공포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음 - Dewey의 실용주의 사상 - 일상생활에 있어서 수량적인 관계와 형에 대하여 고찰하고 처리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산수의 내용과 방법에 까지 생활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1차 교육과정(생활단원학습기)
특징
학생의 발달과정, 능력, 개성신장에 맞게 내용 배열
교과내용은 최소량을 융통성 있게 지도
내용선택은 이론중심을 피하고 생활중심
교육목표는 주지주의보다 실용적인 것 강조
학습활동은 노작교육, 창조교육으로 전환
지도방법 - 단원, 분단, 토의, 도서관 이용 등 다양
2차 교육과정(계통학습기)
1차 교육과정의 미비점 지적 - 여론조사(1959) - 초/중/고 학교관계자와 학부모
1963년 공포 64년부터 2개 학년씩 적용
생활중심에서 벗어나 수학본연의 계통중시 - 생활면을 약화하고 계통성을 고려하여 산수과의 내용을 확충하였으며, 기초적인 개념, 원리에 치중한 체계적인 학습 전개가 되도록 함
수, 계산, 양과 측정, 도형,수량관계와 응용
생활경험을 완전히 탈피못함 - 1958년의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의 영향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