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 정벌 보고서

 1  대마도 정벌 보고서-1
 2  대마도 정벌 보고서-2
 3  대마도 정벌 보고서-3
 4  대마도 정벌 보고서-4
 5  대마도 정벌 보고서-5
 6  대마도 정벌 보고서-6
 7  대마도 정벌 보고서-7
 8  대마도 정벌 보고서-8
 9  대마도 정벌 보고서-9
 10  대마도 정벌 보고서-10
 11  대마도 정벌 보고서-11
 12  대마도 정벌 보고서-12
 13  대마도 정벌 보고서-13
 14  대마도 정벌 보고서-14
 15  대마도 정벌 보고서-15
 16  대마도 정벌 보고서-16
 17  대마도 정벌 보고서-17
 18  대마도 정벌 보고서-18
 19  대마도 정벌 보고서-19
 20  대마도 정벌 보고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마도 정벌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사입문
대마도 정벌
차례
대마도의 설명
서론
문제제기 (대마도가 지닌 외교적 특성)
본론
-고려시대(왜구의 침입과 고려의 대책)
-조선시대(대마도 정벌의 역사적 의미 조선의 대책)
결론
대마도
대마도는 부산에서 53km, 일본의 규슈 혼도(九州本島)에서는 147km나 떨어져 있는 일본보다는 한국쪽에 더 가깝게 위치해 있으며, 그 크기는 거제도의 두배 정도 된다. 섬 전체의 92 %가 산악 지역으로 되어 있으며 농사 가능한 면적은 섬 전체의 3%에 불과해 경제적으로 자립하여 살기 어려운 자연 조건이 척박한 섬으로써, 식량을 외부에서 조달해야만 되는 섬이다.
-문제제기-
조선초기의 대일관계는 왜구로 부터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왜구의 근거지이며 경유지였던 대마도와의 관계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왜구문제는 조선초기 대일정책의 근간이 되었다 이를
위해 조선정부는 외교적인 교섭을 행하는 한편 군비의 증강을
통한 군사적 노력도 병행하였다 그 중 대마도 정벌은 한반도에서
왜구를 근절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그 후 대일
외교체제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이와 같은 영향으로 나타난 조 일간의 외교관계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알아보도록 한다
왜구란?
왜구라는 용어는 왜(倭)와 구(寇)의 합성어이다. 왜라는
글자의 뜻은 고대 일본에 대한 호칭으로서 서기 기원을 전후한
시기로부터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사서에 쓰여져 왔으며 구는
떼도둑 또는 겁탈함을 뜻하고 있다
따라서 왜구(倭寇)라는 단어는 왜인(倭人)들의 집단 도둑행위.
왜인들의 도둑집단 내지는 일본에 의해 저질러진 침략행위를
말한다
또 13-16세기에 걸쳐 중국 또는 조선의 연해에서 활동한
일본인의 해적집단을 총칭하는 말이다
고려시대
고려의 국내적 요인
1 공민왕의 반원정책 추진과 개혁정책 미숙
2 권문세족의 득세와 토지겸병으로 인한 정치 경제 사회적인 혼란
3 왜구에 대한 통제력 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