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

 1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
 2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2
 3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3
 4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4
 5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5
 6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6
 7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7
 8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8
 9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9
 10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0
 11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1
 12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2
 13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3
 14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4
 15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5
 16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6
 17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7
 18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8
 19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19
 20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과학 교수학습이론 콘셉트 맵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Concept map
과학 교수 학습 이론
차 례
개념도의 배경
1
개념도 특징
2
개념도 적용
3
관련 논문
4
1) 사회적 배경
스푸트닉 호 발사 후 초등, 중등에 투입된 자금 감소
Neil Armstrong이
달에 발을 딛임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한 시기
Ronald Reagon은 Jimmy Carter와의 대통령 선거에서 패하게 되고, 1980년 교육자금의 추가적인 삭감, 군사정책에 더 많은 자금. 이론과 연구의 발전의 후속적 시도는 지속됨.
2) 과학철학적 배경
존재론
인식론
절대적 진리 인정여부
있다
없다
관찰되는 현상의 일반화 방법
실재 관찰
주변 환경과의 관계파악
일반화된 이론의 적용범위
관찰되는 대상은 관찰자와 독립적으로 존재
=> 실증주의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관찰되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 보편적 진리를 인정하기보다 특별한 상황에서만 인정받을 수 있음
=> 후기 실증주의
시대적 상황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발견되기 전까지 주류
상대성 이론 이후의 주류
후기실증주의
구성주의
실중주의
사회적구성주의
존재론
인식론
방법
순수한 사실주의
객관주의,
참을 찾을 수 있음
실험적, 인위적, 가설의 증명, 정량적 방법
비판적인 사실주의: 진실은 존재하지만 완벽하지 않고 아마도 이해가 가능
수정된 객관주의, 비판적 전통, 발견은 아마도 참일 수 있음, 공동체 고려
수정된 실험, 비판적 다원주의, 가설이 거짓이 아니라는 것을 발힘, 정성적인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음
지엽적이고 특별하게 구상된 사실
동체에서의 교류를 중시, 주관적, 만들어진 발견
참여적 사실- 주어진 상황과 지성에 의해 생성된 주관적이면서 객관적인 사실
관찰자의 참여를 통한 교류를 인정하는 비판적 주관, 실험을 통한 확장된 인식론, 실용적인 앎(인지), 만들어진 발견
해설적, 변증적
우연이 아닌 정책적인 참여를 통한 행위조사, 실용적, 공유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언어 사용
2) 과학철학적 배경
1) 인지과학
정보처리이론 심포지엄 개최
20년동안 과학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주지 못함.
인지과학자들에 의해 행해진 대부분의 중요 연구결과:
① 전문가는 그들의 지식영역에서 이상하게 능가하는 경향이 있음
② 전문가는 더빠르게 문제를 해결함
③ 전문가는 강하게 위계화된, 관련된 개념들의 정착지인 강한 틀을 가짐, 개념들이 원리적 수준에서 더 깊게 나타남
④ 전문가는 메타인지를 강하게 나타냈고, 자신을 감시하는 기술과 이해를 잘못하는 것에 대한 교정을 나타냄
2) 과학철학적 배경- 후기 실증주의의 등장
② Stephen Toulmin(1972)
과학 이해에 점진적, 정교화적, 진화적 과정을 중시. 우세한 paradigms이란 아이디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경쟁력있고 어떤 대안보다 그들의 잠재적 설명력이 더 강한 것. “우리가 필요한 것은 동일 요소의 대안적 개념으로써 동등한 점진적이고 격렬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발달의 설명이다. 혁명대신에 진화적 설명군의 구성이 필요하다.”
2) Thomas Kuhn(1962), Stephen Toulmin(1972)
① Thomas Kuhn(1962)
인식은 사전 지식의 저장에 강하게 의존. 개념적 선글라스(paradigms)를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것. 그것은 과학적 질문에 대한 물음의 지시를 결정하는 과학자들이 사용하는 합법적 방법, 경험적 발견을 평가하는데 이용. 과학의 이해에 급진적 전환을 강조.
① Giambattista Vico
: “인간은 그들이 그 자신을 위해 함께 넣어 가졌던 인지적 구조를 제외한 아무것도 알 수 없다.” 단순히 자신이 구성해놓은 인식의 구조를 알 뿐이다.
② Ernst Glasersfeld : 급진적 구성주의자(피아제주의)
유용한 지식의 최종적 범주는 그것의 생존능력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경험범위 안에서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지식인지 아닌지이다. 개인의 지식을 구성할 때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을 중요시. 사회적 구성주의 틀에서 교사의 역할과 교사 자신의 지식의 중요성을 말함.
=> 따라서 교사는 개념적 네트워크의 적당한 모델을 가져야한다. 이 관점은 Novak의 인간구성주의 이론의 합성에 함축되어 있음
3) 후기 실증주의의 등장
과학교육자의 코스에서 개인적 지식의 구성에 대한 문제는 중심 이슈
1950년대 말~ 1960년대에 일어난 교육 재구성에 대한 움직임: 학교학습의 유의미성을 증가시키고자 함
1970년부터 Novak을 중심으로 코넬 대학의 연구팀에 의해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 이론을 검증하는 교실 관찰을 실시
개념도탄생
한국교원대학교
3) 학습사회 배경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학습자를 가르쳐야 한다.“
(Ausubel, 1968)
한국교원대학교
3) 학습사회 배경
점진적 분화
의미
포섭과 상위학습동안 일어나는 점진적 정교화와 의미있는 개념의 명료화. 강하게 위계화 되어있는 지식의 구조, 위계 수준의 증가와 중심개념의 분기의 결과.
결과
유의미 학습을 성공적으로 일어난 사람은 많은 위계적 수준으로 구성된 수지상 지식의 구조를 가짐
통합
조정
의미
관련개념사이의 명백한 관계를 밝혀내는 과정.
결과
유의미 학습이 성공적으로 일어난 사람은 유사성, 차이점을 잘 구분하여 개념이 높은 정착력을 가진 지식의 구조로 잘 중재되어 교차연결형태의 종류를 형성하게 됨
Ausubel 의 유의미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점진적 분화와 통합조정은 매우 중요
한국교원대학교
4) Novak의 인간 구성주의 등장
중심 가설
1
노벨 수상자들의 인지과정이 학부 아이들의 그것과 다를 것이 없다고 주장.
통찰적인 순간들을 경험.
정밀하게 같은 의미를 구성하지 않음.
3
서서히의 과정이 있다는 것을 인정.
일치가 일어나려면 오랜 시간동안 많은 협상을 요구.
현실주의자
2
교육 목적
: 공유된 의미 구성
(1993): 많은 개념 치환에서 개인간 충분한 공통성 있음. 교육적 계획을 가능하게 함. 교사는 의미 매개자임. Ausubel(1963)의 결과와 일치하는 개념변화가 점진적이고 급진적인 상황에 의해 지배됨.
Vygotsky(1962)의 학습자는 변화 가능성을 가지고 교사는 그영역안에서그들의 결합을 늘려야 한다는 도덕적이고 전문적인 의무를
지닌다는 생각을 수용. 개념변화는 종종 극단적으로 시간이 소요되는 협상과정을
가짐.
한국교원대학교
5) 인간구성주의의 특징
Title
지식은 개인 특이적이고 개념들 사이에서 계층적으로 조직된 틀. 틀은 신기하게도 겹친다. ‘중심’지식의 본성의 겹침. 개개인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식은 잘 구분되어져 있고 높게 포함되 있으며
영역 특이적 개념들이다.
지식의 본성
교사의 역할
학생들에게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한 을 준다. 개념도와 다른 인지 전략을 쓰며 학생들끼리 모니터 하고 조절하도록 도와준다.
학습자의 역할
생각을 위해 생각을 하는데 시간을 소비한다는 것에 대해 사회적 구성주의나 급진적 구성주 의와 구분한다.
교실활동 조직
소수의 중심개념, 그 개념 사이의 관계, 개념과 자연세계의 물질, 사건 사이의 연결에만 초점. 양보다는 질, 기억보다는 의미, 인식보다는 이해에 초점을 둔다.
5) 인간구성주의의 특징
한국교원대학교
less is more
과학 교육과정에서
개념을 선택하고
배열하는데 대단히
조심성이 필요.
(2) 상호작용
교육방법에서 활동적인
참여와 교사와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중시
교사들은 스스로 학생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을 바꿔줘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