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 책

 1  북한 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 책-1
 2  북한 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 책-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 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 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족은 개인의 사적인 생활영역인 동시에 국가나 사회와 개인을 연결하는 공적인 영역.
그러므로 사회통합의 핵심이 될 수 있음.
○ 연구경향:
2000년 이후 북한 가족연구 본격화, 그러나 세부연구주제는 아직 많지 않음.
사회학, 사회복지학, 여성학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북한이주민 가족 선행 연구의 3가지 경향
-남한사회적응 과정에서 가족이 담당하는 기능 분석: 가족결속력의 순기능에 대하여
-탈북과정과 남한사회 정착 후 가족관계나 역할상의 변화나 지속성 분석: 성역할 변화 에 관한 연구(남편과 아내 사이, 효 의식 등)
-가족 성원들 사이의 차이에 의한 가족갈등 문제: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속도의 차이, 세재별 가치관의 차이, 역할 갈등
1) 결혼유형과 가족관계 (2005년 새터민 종합실태조사 활용)
결혼유무: 전체 유효 응답자의 42.2%가 독신 상태, 20대 결혼율 26.4%, 30-50대 결혼율 50%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비율 포함) → 이별, 이혼, 별거 등으로 인한 가족해체와 불안정이 상당히 높음. ( 이혼 경험 24.6%, 사별한 경험 1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