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정 치사상 발표문 중국의 정치사상 관념의 변천 사장 천명

 1  유가정 치사상 발표문 중국의 정치사상 관념의 변천 사장 천명-1
 2  유가정 치사상 발표문 중국의 정치사상 관념의 변천 사장 천명-2
 3  유가정 치사상 발표문 중국의 정치사상 관념의 변천 사장 천명-3
 4  유가정 치사상 발표문 중국의 정치사상 관념의 변천 사장 천명-4
 5  유가정 치사상 발표문 중국의 정치사상 관념의 변천 사장 천명-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가정 치사상 발표문 중국의 정치사상 관념의 변천 사장 천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절에서 천(天) · 명(命)의 관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한전에 따르면 천의 의미는 날짜, 신, 하늘 등 광범위하게 쓰였다. 즉, 천은 중국문화에서 신비적이면서 종교적인 관념이라고 볼 수 있다. 갑골문부터 진나라 대의 소전까지 천은 조금씩 변천했다. 처음에 나타난 글자는 제사를 올리는 사람 위에 동그라미를 올리고 있다. 이후에 나타난 글자는 높은 곳을 의미하는 二자 형성을 올려놓고 있다. 모두 천의 원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서주 후기 주 선왕 때의 청동기 송정에 등장하는 글자는 오늘날의 천의 모양과 거의 같다고 말할 수 있다.
고대문자에서 사람 인 글자는 허리를 굽히고 노동을 하는 모습으로 일반 농민을 의미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갑골문과 금문에는 다른 모양의 글자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글자는 조상 혹은 제사상의 모습을 상형화 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천은 다른 사람들에 위에 있는 존재라는 추상적인 의미와 더 높은 곳에 있는 자연물인 하늘을 지칭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천은 인체에서 가장 높은 부분인 정수리를 뜻하기도 한다. 사람의 신체 중 가장 높은 곳을 의미하는 정수리는 신하에게 있어서 군주, 자식에게 있어서 아버지, 백성에게 있어서 음식 등과 같은 역할을 하며 지고무상의 존재라고 말할 수 있다.
서중서의 갑골문자전에는 갑골문에 보이는 천의 용례를 정수리, 크다, 지명, 사람의 이름 총 4가지로 구별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의 경우 크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대와 내왕하는 의미로 쓰였다. 즉, 초기에 천에서는 주재자, 계시자와 같은 의미를 발견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문자의 성립이 보편적으로 사람 눈에 보이는 인체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천은 시대를 관통하여 항상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초기 문헌인 시경, 서경, 주역에서 나타나는 천과 약 7~800년 뒤에 형성되는 맹자 공손추 하편에서도, 이후 또 7~800년이 지난 제갈량의 출사표에서도 의미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갑골문의 최초 용례와 비슷하게 천의 어원적 의미는 통시적으로 공통성을 지나며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명은 고문자고림에 따르면 영자와 명자는 같은 어원을 지니고, 고대의 두 글자는 같이 쓰였다고 한다. 주준성은 이를 나누어 일에 대한 것이 영이고 말에 대한 것이 명이라고 했다. 이를 통해 명은 말과 관련한 글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유악의 철운장구 12.4 글자와 초기 금문인 면반의 글자는 모두 영자로 초기에는 하나로 쓰였다가 후기 금문인 이궤에 와서 오늘날 명자와 같아진다. 모양을 보면 위는 지시를 하는 입모양을 보이고 있고, 아래는 지시를 기다리는 부하의 모습을 보인다. 초기 금문의 자형은 갑골문의 아랫부분의 모습을 변형한 것이고, 후기 금문에는 아랫부분에 입을 더한 모습으로 명령에 대한 강조를 표현한다.
서중서의 갑골문자전에서는 명과 령이 같은 글자임을 긍정한, 어원은 다르다고 해석한다. 옛날 사람들이 목탁을 두드려 호령했고, 아랫사람들이 무릎을 꿇고 명령을 듣는 형상으로 표현했다. 설문해자에서는 구자와 명자가 합해진 회의문자라는 이야기를 한다. 입을 벌리고 영을 하달하는 것으로 갑골문의 원래 뜻과 가깝다. 즉, 위에서 아래로부터 무엇을 하도록 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우리 국어사전에 나오는 명령의 의미와 같게 통용된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시경 대아 권아 편과 맹자 이루 상편, 제갈량의 출사표 등에서도 명은 명령을 뜻하는 원래의 뜻과 같게 나타난다.
이후 천명이라는 관념이 등장한다. 공자가 50세에 천명을 알았다고 하며, 청나라의 누르하치도 후금의 연호를 천명이라 했다. 이렇듯 중국 역사에서 천명이라는 관념은 자주 등장하고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천명에서의 천은 자연이나 물질로서의 천이 아니고, 주재자 혹은 계시자, 이법의 실천자라 인식해야 한다. 천이 후자의 의미를 언제 나타나게 되었는가를 파악하면 천명 관념의 등장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풍우란은 천을 주재, 물질, 운명, 자연, 의리로의 천으로서 구별한다. 부패영 역시도 천을 다섯 가지 성격으로 지니고 있다고 한다. 구양정인의 연구 경우 은나라 때의 천도 다양한 의미부여가 있었다고 한다. 앞에 나온 갑골문을 통해 보았듯이 천은 처음부터 가장 크고 높은 존재를 말했다고 한다. 다만 현재 존재하는 갑골문에서 이런 정보를 찾아볼 수가 없다.
최초의 문헌인 시경, 서경에서는 다양한 천명의 용례가 등장한다. 서경 중에서 은나라 말기에 형성된 반경 중에서 천명이 나타나는데, 여기서의 천명 관념을 최초로 정치적으로 이용했다. 이를 통해 천명은 정치사회적 안정을 해주는 정치적 역할을 지속할 수 있었다. (당시 천명의 관념이 보편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주나라 문헌인 서경 장고 편과, 시경 대아 문왕 편과 시경 대아 탕 편에서도 천명의 개념이 나타난다. 각 문헌에서도 역시 천명의 개념을 정치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정치적인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