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

 1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
 2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2
 3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3
 4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4
 5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5
 6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6
 7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7
 8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8
 9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9
 10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0
 11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1
 12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2
 13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3
 14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4
 15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5
 16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6
 17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7
 18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8
 19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사회복지론 복지네트워크 구축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91년 지방자치가 실시된 이후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것은 첫째, 지방정부와 지역주민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복지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게 되었고 둘째, 1980년대 이후 서구의 신보수주의의 영향으로 ‘작지만 강한 정부(less government more governance)’에 대한 사회전반의 인식과 이에 따른 ‘정부의 후퇴(roll back of the State)’로 중앙정부는 복지재정 회피의 돌파구로서 ‘지역사회’를 주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정부의 낮은 재정자립도와 지역사회자원 동원능력의 부족 등은 다양한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지방정부는 복지의 직접적인 제공보다는 다른 부문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복지공급 전략을 추진하였고, 그 전략의 핵심은 바로 지역사회에 위치하고 있는 사회복지관과 같은 자발적 부문(voluntary sector)의 활용이었다. 즉, 지방정부는 사회복지관과 서비스 위탁계약을 맺고 보조금을 지급하여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토록 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이렇게 사회복지관이 지방정부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복지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라면, 이런 복지공급의 형태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또 사회복지관의 활동이 지역사회복지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가?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관 자체에 대한 분석보다는 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방정부와 어떤 협력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관계내용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보고서의 목적은
첫째, 지방정부와 사회복지기관이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두 기관의 네트워크 특성을 근거로 사회복지기관이 제공하는 복지공급 형태를 평가하고
지역사회복지에의 기여정도를 평가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사회복지 현실을 분석하는 대부분의 연구들은 어느 한 공급 주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회복지의 일부분만을 다루어왔다. 그 중에서 국가복지에 대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고, 민간부문(private sector), 비공식부문(informal sector), 그리고 자발적 부문(voluntary sector) 등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신동면, 2001). 특히 각 부문간 연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복지의 공급주체가 다원화되고 이들 간의 파트너쉽이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부문간 연계에 대한 연구에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생각이 든다.
Ⅱ. 복지와 네트워크
Ⅱ-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대상
사회복지연구에 있어서 지역사회복지는 새로운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는 1945년 이후 사회복지방법론 중의 하나인 지역사회조직이 선행 이론으로 자리 매김 하였다. 그러나 지역사회복지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한 분야를 구성한다는 것보다도 지역 주민의 복지향상을 도모한다는 목적개념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목적개념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가 구체적인 생활상의 과제를 해결하려는 실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즉 실체개념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부터이다. 미국에서는 지역사회복지계획(community welfare planning )이라는 식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음을 보게 되며 영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지역사회조직 (community organization)과 지역사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 )을 포괄하여 기능 영역으로 지역사회사업(community work)이라는 용어로 사용하여 일반화되고 있기도 하다. 오히려 미 ·영에서는 지역사회서비스(community service)라는 용어가 지역사회복지의 실체 개념에 근사하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김희연, 지역사회복지의 네트워크 분석:대전광역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001.
김희연·한인숙, 네트워크 이론에서 본 지역사회복지,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14, No.1,2002
박정호, 자활지원 네트워크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리뷰, Vol6, No.1,
2001
신동면·한상연·김종호·이호창·김민용, 지역복지 정보네트워크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보,
Vol13, No.1, 2004
최일섭 ·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