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

 1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1
 2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2
 3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3
 4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4
 5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5
 6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6
 7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위한 가정관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종교문제의 큰 관제는 회심과 양육에 대한 문제다. 근대 미국에서의 이 논의는 닮아(Horace Bushne11)에 시작되었다. 그는, ‘기독교적 양육에 대한 대화’ (1847) (Discourses on Christian Nurture)에 있어서 문제제기와 독자적인 이론의 제시하고 근대 기독교양육의 지도자가 되었다. 여기서 그의 ‘기독교적 양육’ (1861) (Christian Nurture) 에서 양육을 검토해서 기독교적 양육론을 고찰하고 싶다. 그가 주장하는 기독교적 양육론으로 중요한 논점은 양육의 장소가 되는 가정에 대한 고찰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 양육론에 대한 그의 가정관을 고찰한다.
19세기 중엽, 부쉬넬 자신에 있어서 퓨리턴의 땅에서 성장해 교육을 받아 목회에 힘쓴 그는 주일학교의 부흥과 가정 교육의 쇠퇴의 현상이 있었다. 또, 각지에 확대한 신앙부흥 운동의 영향이 있었던 것이다. 거기에서 그는 극단적인 개인주의의 경향에 있는 사회에서의 신앙 부흥에 있어서의 개인의 회심에 초점을 맞추고 기독교교육에 대치했다.
그는 문제제기와 함께 가족의 관계를 기반으로 점진적인 그리스도교교육을 추구했다. 그 양육론은 무엇인가? 그리고 양육의 중심장소가 되는 가정을 그는 어떻게 고찰하고 있었던 거인가?
2. 미국의 가정에 대한 전통이해
16세기 구라파에서 종교개혁의 3원칙이 성시의 권위, 신안의인, 만인제사라고 한다면, 그것들은 모두 개인단위의 것이며 개인과 하나님의 직접관계가 중시되어 있었다. 그것은 인간이 우선 개인으로서 존경되어 개인이 하나님 앞에서 자기의 존재와 책무를 확인하고, 그 의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의 전통에서는 각 개인의 믿음이 종교교육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그 개인의 신앙이나 존엄을 설득하는 퓨리턴 식민지에서는 종교적, 경제적, 정치적 사항으로 가정에 주요한 역할이 있었다. 퓨리턴들은 그 가정을 주축으로서 하나님과 계약의 유지에 노력하고 있었던 것이다. 남편과 아내, 부모와 아이, 주인과 도제에서 이루어진 이 가정은 민중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기관이며, 교회나 지역사회는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기반으로서 그것을 지키려고 했다. 그들은 구라파에서 기성의 전통, 정통인 신조, 사회의 중시를 대신해서 회심, 계약, 회중을 종교경험의 기본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현실에는 가족단위로 그것들을 경험하는 것을 원한 것 이였다.
3. 부쉬넬과 그의 시대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에 대한’(1847) (Discourses on Christian Nurture) 이 최초에 출판된 곳은 코네티컷주의 하트퍼도이었다. 이 곳은 퓨리터의 땅 뉴잉글랜드에 있어 메이플라워호에 의해 200년 이상 경과하고 식민지는 독립국이 되어 퓨리턴 사회는 큰 변화를 이루고 있었다. 그 동안 18세기의 중엽은 Jonathan Edwards(1703-58)을 중심으로 하는 제1차 신앙 부흥운동이 있어 19세기 전반에는 Charles Finney(1792-1875)에 의한 제2차 신앙 부흥운동이 있었다.
그 시대에 강조된 것은 원죄와 전적인 타락이었다. 그럴 때에 회심의 경험과는 하나님께 신앙 고백한 자가 구원의 은총을 받는 것을 의미했다. 즉 교육의 종국적인 목표는 구원이었던 것이다.
19세기 중엽 신앙부흥의 지도자들은 칼빈주의를 수정한 아르미니우스주의에 입각하고 교육의 주요한 것은 어린이들에게 회심의 준비를 시키는 것이라고 해서 교리나 도덕적 교훈을 어린이들에 가르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식민지에서 독립국 (1776)이 되어는 주일학교가 저착해 공립학교는 정교분리의 밑에서 확대했다. 주일학교는 신앙, 공립학교는 기초적인 교육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 상황에 있어서 가정의 교육이 점차로 경시되어 갔다. ‘부쉬넬이 어린이 양육에 대해 강조한 것은 주일 학교와 공립 학교라는 미국 사회의 두 중요 제도의 발전과 일치한다’1)고 진술하고 있다.
1) 부쉬넬 자신의 가정생활
호레이스 부쉬넬은 1802년 코네티컷주 밴텀시에서 6명 식구 중 장남으로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엔사인 부휘넬은 메서디스트이며, 어머니는 경건한 신아의 사람이었다. 전형적인 뉴잉글랜드의 권위주의 가정은 칼빈주위를 지켜 엄격한 교육을 했지만 부쉬넬의 가정은 그렇지 않았다.
참고문헌

호레이스 부쉬넬, ‘기독교적 양육’ / 김도일 옮김 (장로회신학대학교출반부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