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

 1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1
 2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2
 3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3
 4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4
 5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5
 6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6
 7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7
 8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8
 9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9
 10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10
 11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11
 12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12
 13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인의 심리적 이중성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이중성의 의미
3. 이중성과 관련된 한국인의 성격 특성
가. 한국인의 이중성
나. 이중성의 장단점
4.이중성의 근원에 대한 분석
가. 감정 우위형 사고-정(情), 우리성, 체면
나. 심신적 역량 유약-우리성과 집단주의
5. 이중 의식의 극복 방안
가. 추상적, 분석적 사고능력 배양
나. 감정 억제 - 이성적 사고 강조
다. 심신의 역량 강화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에서 한국인의 이중성을 비판하는 일만큼의 모순도 없는 것 같다. 이중성이란 표리부동(表裏不同)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가장 배척받는 인간상 중의 하나가 바로 표리부동한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그렇게 싫어하는 인간상이 바로 한국인의 전형적인 모습 중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명실상부(名實相符)한 사람을 이상형으로 삼았기 때문에 표리부동한 사람을 싫어했다기보다는 이중적인 사람들이 워낙 많다보니까 그런 사람들에 대해 혐오감을 느껴서 표리부동한 사람을 싫어하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우리 사회에는 이중적인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우리의 국민성을 이중성으로 특징지어본 것이다.
표리부동을 의미하는 이중성은 좀더 세분화 해본다면 생각과 행동이 다르거나, 생각과 말이 다르거나, 말과 행동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중성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이 체면, 눈치, 정(情), 우리성, 집단주의 등과 같은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들 역시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대표하는 것들로서 많이 거론된다.
참고문헌
최상진. 한국인의 의례적 언행과 그 기능
한국인의 정(情)표상
눈치의 사회심리학적 구조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당사자심리학과 제 3자 심리

최상진, 박수현, ‘우리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나은영, 민경환 (1998).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조선일보사 편집국 (1978). 한국인은 누구인가: 외국인이 본 우리의 의식구조
(조선일보 총서4). 서울: 조선일보사.

차재호 (1984). 국민성의 활성화. 한국인의 성격(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고려원. p112-161

최창호(1993). 체면과 자아존중감
통제성향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