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

 1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1
 2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2
 3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3
 4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4
 5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5
 6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6
 7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7
 8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8
 9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9
 10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술치료와 뇌과학 리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본 보고서는 미술치료와 뇌과학으로 무엇이 논의되어 왔으며 어떤 관계를 가져 왔는가를 살핍니다. 그리고, 치료적 의미를 뇌 과학의 이해로 증명하는 연구방법들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Ⅰ. 서 론
가장 최근의 치료적 이슈는, 정서와 건강사이의 연결을 밝혀내는 것. 즉, ‘정신위생의 재정의’입니다. mindbody medicine과 psychoneuroimmunology(심리신경면역학)분야들은 마음과 신체의 합병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심신 중재로서의 미술치료에 대하여 미국국립위행연구소(NIH의 일부)는 신체기능과 증상에 영향을 미칠 마음의 능력을 마음신체 중재(intervention)라고 규정지었습니다. 인지 행동적 접근이나 조정 심리학들은 정신요법의 형태이지만, 미술치료는 마음신체 중재로 인정됩니다.
Damasio (1994), Sapolsky (1998), 그리고 Ramachandran(1999)은 기억과 이미지들의 개념화 등이 뇌와 신체에 영향을 주는데, 두뇌, 인간생리학, 정서는, “초기애착 (attachment)” 과 기억 속의 외상충격이 복잡하게 뒤얽혀 삶속에서 신경학적 결과를 완성해나간다고 설명합니다.
Kaplan(2000)은 정신적인 심상과 예술 활동이 공감을 이루는 까닭에 심신 관련 분야로서 예술 활동이 중대한 영향을 준다고 이야기합니다.
런던 대학University of College London 신경생물학 교수인 Semir Zeki(1999)는 그의 저서 『Inner Vision』을 통해 예술의 목적 중 적어도 일부가 뇌기능의 확장에 있다는 신념을 표명하였습니다. 미술치료는 이러한 뇌기능의 확장이라는 개념을 치료의 과학적 증거로 연구하려는 여러 시도를 추진해 왔었는데, Malchiodi(2002)는 이러한 신경생리학과 미술치료와의 관계를 처음으로 거론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여러 이슈에 대한 주제를 몇 가지 뽑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시각과 두뇌, 그리고 미술
2. 이미지와 미술치료
3. 애착이론과 정서와 신경생리학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시욱(2006). 미술치료가 정신병리 아동의 자율신경계 활동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2권 제3호. 한국미술치료학회.
뉴턴코리아(2007). 뉴턴하이라이트. 뇌와 마음의 구조.서울: 뉴턴사이언스.
백용수(2007). 하타요가 수련이 부신피질 및 성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이보영(2004). 예술심리학·비판적 고찰과 전망.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제2호.
이일우(2005). 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지시적 미술치료가 유아의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학원 논문집 제 35권. 원광대학교 대학원.
정옥분,정순화,임정화(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학지사.
최영희·이미옥(2004). 소조활동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1권 제2호. 한국미술치료학회.
Damasio, A. (1994). Descartes error. New York: Putnam.
Garnder,H.(1984). Art, mind, and brain. New York: Basic Books.
Kaplan, F.(2000). Art, science, and art therapy: Repainting the picture. London: Jessica Kingsley.
Malchiodi(2002), Handbook of Art Therapy, Guilford Pubn, p16~24.
Matisse, H.(1972). Ecrits et propos sur Art, Hermann, Paris.
Michael Fraklin(2000). Art Practice/Psychotherapy Practice/Contemplative Pratice: Sitting on the Doves Tail. Guidance & Counselling.vol 15.
Ramachandran, V.(1999). Phantoms of brain. New York: Quill.
Riley, S.(2001). Group process made visible. New Yo가: Brunner-Routledge.
Sapolsky R. (1998). Why zebras dons get ulcers. New York: Freeman.
Semir Zeki(1999). 박창범 역. Inner Vision 뇌로 보는 그림, 뇌로 그리는 미술. 서울:시공사
Siegel D. J. (1999). The developing mind: Towards a neurobiology of interpersonal exper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S.Zeki.(1990). La recherche, 712~721.
Tinnin, L.(1994). Transforming the placebo effect in art therapy. American Journal of Art Therapy, 32(3),75-78.
Ulich,R.(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420-42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