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주거문화

 1  중국의 주거문화-1
 2  중국의 주거문화-2
 3  중국의 주거문화-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의 주거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국인의 대다수를 이루는 한족과 전국에 산재해 있는 여러 소수민족들은 각각의 경계조건과 생활관습, 그리고 거주하는 지역의 기후지형건축재료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서 독자적인 주거문화를 형성했다. 그러므로 각 지역에 존재하는 주거문화 형식들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주거형식들에는 상당한 유사성을 엿 볼 수 있다. 이것은 중국인의 대다수를 점하는 한족의 주거문화가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중정을 중심으로 하는 내향적 공간구성과 좌우대칭의 엄격한 축적 구성을 한족 고유의 주택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각 지역의 기후와 풍토 그리고 사용 가능한 재료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화와 적응의 과정을 통해 지금의 다양한 주거문화가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겠다.
중국주택의 다양성을 지역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크게 양자강을 중심으로 하여 북부와 남부, 이렇게 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1. 물리적 요소
1) 기후와 은신처
기후가 주택형태를 결정한다는 생각은 문화지리학은 물론 건축 분야에서 널리 인정되어왔다. 흔히 혹독한 기후조건과 적의 침입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은신처(shelter)를 마련하는 것을 주택의 원초적인 기능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전통 건물은 기후에 맞게 설계되어있다. 이렇게 형성된 전통주택은 막대한 에너지를 소모하며 기후를 기술적으로 조절하는 오늘날의 주택과는 달리 기후조건에 순응하는 공간구성과 형태를 갖는다.
중국에는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한다. 중국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주택유형은 바로 이같이 다양한 기후대와 관련이 있다. 사합원(四合院)은 중국의 북부지방인 화북(華北)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토루(土樓)는 남부의 푸젠성(福建省)에 분포한다.
주거공간의 구성요소도 기후와 관계가 있다. 예로, 원자(院子; 마당 또는 정원)의 크기는 기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곧, 추운 지방에서는 일조를 위하여 원자가 개방적으로 구성되며 더운 지방에서는 일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매우 밀폐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국 남부지방에서는 원자가 작고 폐쇄적인 공간이 되는데 이를 천정(天井)이라고 부른다.
2) 재료
전통주택에는 그것이 지어진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곧 이용가능성이 큰 재료들이 주로 사용되었음을 보게 된다. 제주도 지역에 돌담이 발달한 것은 주변의 농경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돌들을 잘 활용한 결과이다. 이와 같이 중국의 샨시성(陝西省) 지역에서는 흙집이 주로 지어진 것도 역시 재료의 이용가능성에 따른 것이다.
3) 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