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

 1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1
 2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2
 3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3
 4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4
 5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5
 6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6
 7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7
 8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8
 9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9
 10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10
 11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11
 12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12
 13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13
 14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 산문의 이해 과진론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의(賈誼, BC 200~BC 168)는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 사람으로 전한(前漢)의 정론가(政論家)요 문학가(文學家)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 18세에 이미 군(郡)에서 이름을 날려 하남군수(河南郡守) 오공(吳公)이 그를 불러들여 문하로 삼았다. 한(漢) 문제(文帝)가 즉위하면서 오공(吳公)이 정위(廷尉)에 올랐는데, 이때 오공이 시문에 뛰어나고 제자백가에 정통한 가의를 추천하여 불과 20여세에 최연소 박사가 되었다. 매번 황제의 명령으로 의론을 올릴 때 마다 원로 박사들이 의견을 제시하지 못했는데, 젊은 가의가 모두 응대하자 한(漢) 문제(文帝)는 그를 일약 태중대부(太中大夫)로 승진시켜 약관의 나이에 문제(文帝)의 고문이 되었다. 이 해에 가의는 황제에게 와 를 올려 현실 정치에 대한 견해를 적극적으로 드러냈다. 또한 문제 2년에는 진의 실패를 거울삼아 선정과 덕치를 베풀어야 한다는 을 썼다. 진나라의 제도를 답습하고 있던 현실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본 그는 역법복색관직 제도와 법을 개정하고 예악을 부흥시킬것을 제안했고 문제는 가의의 제안 중 일부를 채택하고 그를 공경(公卿)직에 임명하려 한다.
그러나 가의의 뛰어난 재능과 파격적인 승진은 주발(周勃), 장상여(張相如) 등 중신(重臣)들의 시기와 질투로 모함을 받아 결국 한 문제로부터 소원해지고 이로 인해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었다. 가의는 울분을 머금고 상수(湘水)를 건너다가 자신의 불우한 운명을 굴원(屈原)에 비유하여 와 를 지었으며, 《초사(楚辭)》에 수록된 도 그의 작품으로 알려졌다.
그는 장사(長沙)에서 3년을 보낸 후 문제 7년에 장안(長安)으로 소환되었다. 문제는 그를 불러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누었으나 치국(治國)에 대한 계책은 묻지 않고 다만 귀신에 대해서만 물었다. 얼마 후 문제는 가의를 자기가 매우 사랑하는 막내아들 양회왕(梁懷王)의 태부(太傅)로 임명하였다. 이 해 그는 황제에게 를 올렸다. 는 혹은 이라고도 불리는데 후대에는 주로 으로 불렸다. 4년째 되던 해에 양회왕이 낙마(落馬)하여 죽자, 가의는 책임을 다하지 못한 죄책감에 빠져 1년여를 울다가 그만 3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가의는 자신의 시대를 앞서 살아간 사람이었다. 그는 공신 집단이 지배하던 전한 초기에 뛰어난 학문으로 구시대의 유산을 떨쳐버리고 새 시대를 선도하는 일에 헌신하고자 노력했다. 뛰어난 정론가(政論家)인 가의는 농본주의인정애민(仁政愛民)외부침략 방어 및 변방 오랑캐 무마 등 많은 정치주장을 제기했다. 이러한 주장은 한 문제에 의해 채택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역대 봉건 왕조의 정책으로도 널리 활용되었다. 나아가 그 원칙과 정신은 동아시아 주변 각국에 전파되어 근대화 이전까지 영향을 주었다.
저서에 《신서(新書)》10권이 있으며, 진(秦)의 멸망 원인을 추구한 은 널리 알려져 있다.
【과진론의 창작배경】
가의의 주요 정론(政論)과 사회와 대외 문제에 관한 주장은 과 에 집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가의가 문제에게 을 올린 때는 전한의 문제 2년, 기원전 178년이었다. 정위로 승진한 오공의 천거에 의해 가의가 박사가 된 이듬해이기도 했다.
《과진론》은 진나라의 실정(失政)을 거울삼아 한나라 고유의 통치 이데올로기를 확립할 것을 요구한 글이라고 할 수 있다.
한은 진의 가혹한 통치와 초한 전쟁을 거쳐 건국되었으나, 새 왕조의 기틀을 세울 여유가 없었다. 뿐만 아니라 학문적 소양을 갖추지 못한 임협(任俠) 출신이 공신으로서 지배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므로 새로운 제국 질서의 수립을 위한 정책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때에 등장한 가의라는 약관의 재사(才士)가 차례로 던진 상소를 통해 지향한 목표는 전한 왕조의 제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진나라의 색깔을 지워버리고 신질서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과진론》은 날카로운 필치와 절실한 논리에 거침없는 기세까지 갖추어진 명문으로 후대에 이르러 전체 문장을 세 편으로 나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