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

 1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
 2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2
 3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3
 4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4
 5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5
 6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6
 7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7
 8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8
 9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9
 10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0
 11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1
 12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2
 13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3
 14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4
 15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5
 16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6
 17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에 대한 고찰
1. 서론
국어 문법 연구는 국어 화자가 내재하고 있는 언어지식을 명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모아 분류하고 체계적인 방법론에 입각하여 설명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 글은 말뭉치(corpus)에 나타난 ‘그리고’의 다양한 모습을 검토함으로써 ‘그리고’가 내재하고 있는 문법의 한 면모를 밝히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접속부사의 연구현황에 대해서는 김미선(2001:2-4), 김선영(2003:4-10) 참고. 접속부사에 대한 문법적인 검토는 都守熙(1965), 양명희(1998), 임유종박동호홍재성(2001), 김선영(2003) 등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접속부사의 접속 기능과 대용 기능, 접속의 구체적인 양상 등이 논의되었다.
아울러 ‘그리고’의 다양한 용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함으로써 지금까지의 문법연구가 이루어 온 성과를 확인하고 또 ‘그리고’의 문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더 추가적으로 논의되어야 하는지를 밝히는 것도 목적으로 삼는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2절에서는 ‘그리고’의 접속 유형과 유형별 빈도와 비율을 살펴본다. 이어 3절에서는 동사구 접속 유형과 이종 접속 유형의 문법적인 측면을 좀더 자세히 고찰한다. 4절은 결론으로서 논의 내용을 요약하고 관련된 문제를 언급함으로써 글을 정리한다.
2. ‘그리고’ 접속의 유형과 빈도
‘그리고’에 의한 접속의 구체적인 실상은 어떠한가? ‘그리고’ 접속은 몇 가지로 분류되고 또 분류된 각 유형은 얼마만큼의 비중을 지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말뭉치에 실재로 나타난 ‘그리고’ 접속의 다양한 용례를 검토하고 분류해야 한다. 이 절에서는 바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데, 먼저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의 용례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어 각 유형의 빈도와 비율을 확인한다.
2.1. 접속 유형
분류는 무엇을 기준으로 삼느냐에 따라 사뭇 달라진다. 여기서는 통사적 환경을 기준으로 ‘그리고’의 용례들을 문 접속, 절 접속, 명사구 접속, 문장성분 접속, 중첩, 이종 접속 등으로 분류한다. 각 부류의 용례들을 제시하면서 관련된 사항을 언급한다.
2.1.1. 문 접속
먼저 문 접속 기능의 ‘그리고’의 용례를 아래에 제시한다.
(1) 가. 저희 걱정 마시고 행복하세요. 그리고 아버님, 저희들 대신 어머님 많이 사랑해 주십시오.
나. 그래서 김밥 위에 통깨까지 뿌려 가면서 참기름 냄새 솔솔 나는 김밥 도시락을 쌌습니다. 그리고 상큼 한 오이소박이도 작은 그릇에 담았지요.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김미선(2001), 접속부사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김선영(2003), 현대 국어의 접속 부사에 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김영희(1997), 한국어의 비우기 현상,『國語學』29, 171-197.
김정대(2004), 한국어 접속문의 구조,『국어국문학』138, 121-152.
都守熙(1965), {그러나, 그러고…}, {그러니, 그러면…} 等 語辭攷,『韓國言語文學』3. [都守熙(1987)에 재수록]
都守熙(1987),『國語代用言의 硏究』, 塔出版社.
徐禎穆(1993), 繫辭 構文과 그 否定文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安秉禧先生 回甲紀念論叢 - 國語史 資料와 國語學의 硏究』, 文學과 知性社, 488-506.
서정목(1998),『문법의 모형과 핵 계층 이론』, 태학사.
서정목(1999), 국어의 WH-이동과 主題化, 焦點化,『이홍배 교수 화갑기념 논총 - 오늘의 문법, 우리를 어디로』, 한신문화사, 255-289.
徐鍾學(1983), 15世紀 國語의 後置詞 硏究 - 體言用言副詞 派生의 後置詞를 中心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시정곤(1995), 핵이동과 ‘-이/답/히/같-’의 형태통사론,『생성문법연구』5, 419- 456.
양명희(1998),『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태학사.
嚴正浩(1989), 소위 指定詞 構文의 統辭構造,『國語學』18, 110-130.
李承旭(1957), 國語의 포스트포지션에 대하여 - 그의 品詞定立에 대한 試攷,『一石 李熙昇先生頌壽記念論叢』, 一潮閣. [李承旭(1973)에 재수록]
李承旭(1966), 後置詞의 統辭論的 考察,『東亞文化』6, 220-221.
李承旭(1973),『國語文法體系의 史的硏究』, 一潮閣.
이정훈(2004), 국어의 문법형식과 통사구조 연구,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이정훈(2005가), 국어 조사의 인허조건과 통합관계,『언어』30, 173-193.
이정훈(2005나), 조사와 활용형의 범주통용 - ‘이’계 형식을 대상으로,『國語學』45, 145-
임유종박동호홍재성(2001), 접속부사의 구문론적 특성,『언어학』28, 177-209.
조남호(2002), ‘21세기 세종계획’의 균형 말뭉치 분석,『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721-744.
허철구(2005), 대등접속문의 통사 구조,『배달말』36, 55-87.
洪允杓(1984), 現代國語의 後置詞 {가지고},『東洋學』4, 25-40.
李翊燮任洪彬(1983),『國語文法論』, 學硏社.
Chomsky, N.(1965),『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MIT Press.
Chomsky, N.(1995),『The Minimalist Program』, MIT Press.
Gorrell, P.(1995),『Syntax and Pars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Kim, Jeong-Seok(1998),『Syntactic Focus Movement and Ellipsis - A Minimal- ist Approach』, Thaehaksa.
Phillips, C.(2003), Linear Order and Constituency,『Linguistic Inquiry』34, 37-90.
Roberts, I.(2001), Head Movement, In M. Baltin and C. Collins, eds.,『The Handbook of Contemporary Syntactic Theory』, Blackwell, 11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