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

 1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
 2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2
 3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3
 4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4
 5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5
 6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6
 7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7
 8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8
 9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9
 10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0
 11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1
 12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2
 13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3
 14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4
 15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5
 16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6
 17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7
 18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8
 19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19
 20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 지역방언의 개념과 각 개별방언들, 방언조사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지역방언이란

1. 지역방언의 정의와 발생원인

2. 지역방언의 연구 -언어지도

3. 지역방언의 세가지 유형 - 핵방언권, 잔재 지역, 전이 지역

ⅱ. 지역별 방언의 특성

ⅲ. 지역별 방언의 음운적 특성

1. 강원도 방언

2. 충청도 방언

3. 전라도 방언

4.경상도 방언

5. 제주도 방언

6. 육진 방언

ⅳ. 지역별 어휘 조사

ⅴ. 방언조사 방법

1. 조사 항목 선정

2. 질문지 작성

3. 조사지점과 조사방법 선정

4. 제보자 선정

5. 자료 수집 및 정리

6. 방언 자료집 간행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어간말자음군 단순화 현상
어간말자음군 가운데 하나가 자음 앞에서 탈락하는 것으로 어느 방언에서나 있는 현상이나, 어느 자음이 탈락하는가는 방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늙다, 밟다’의 ‘ㄺ, ㄼ’ 경우에는 다른 방언에서와는 달리 뒷 자음 ‘ㄱ’과 ‘ㅂ’이 탈락하고 앞 자음 ‘ㄹ’이 남는다.
3) ‘ㅣ’역행동화(움라우트)현상
두루마기 → 두루매기 잠방이 → 잠뱅이 다리다 → 대리다
누더기 → 누데기 꾸러미 → 꾸레미 지렁이 → 지렝이
먹이다 → 멕이다 잡히다 → 잽히다 녹이다 → 뇍이다
이러한 ‘ㅣ’역행동화는 대부분 한 단어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강원도 방언에서는 지역에 따라 명사와 주격조사 ‘-이’ 및 지정사 ‘이다’사이에서도 ‘ㅣ’역행동화 현상이 일어나는데 특히 삼척지역에서 활발한 편이다.
신랑이 → 신랭이 할멈이 → 할멤이 언덕이야 → 언덱이야
4) 단모음화
목화 → 모카, 환갑 → 한갑,
사위 → 사우, 사마귀 → 사마구
그런데 용언의 활용형에서의 단모음화 현상은 지역에 따른 심한 차이를 보인다.
가령 ‘ㅕ’가 강릉 지역에서는 ‘마시어→마서, 지어→저, 가르치어→갈처’ 처럼 ‘ㅅ, ㅈ, ㅊ’아래에서 ‘ㅓ’로 실현되고, 삼척 지역에서는 ‘마시어→마세, 지어→저, 가르치어→갈체’ 처럼 ‘ㅓ’또는 ‘ㅔ’로 실현된다. 그리고 ‘ㅝ’는 강릉지역에서 ‘바꾸어→바꼬, 감추어→감초, 줄구어(줄이어)→줄고’처럼 ‘ㅗ’로, 삼척지역에서는 ‘바꾸어→바까, 감추어→감차, 줄구어(줄이어)→줄과’처럼 ‘ㅏ’ 또는 ‘ㅘ’로 실현된다.
5) 어두 경음화 현상
개구리->깨구리 가위->까새 갓난아이->깐난애기
박쥐->빡쮜 벗기다->뺏기다 (콩을)불리다->뿔구다
사례->싸레 삶다->쌂다 시래기->씨래기
그리고 어두의 경음화 현상보다 약하기는 하나, 어두의 유기음화(격음화) 현상도 나타난다.
갈치->칼치 구리다->쿠리다 달팽이->탈팽이
6)구개음화 현상
‘ㄷ->ㅈ, ㅌ->ㅊ’의 구개음화 외에 ‘ㄱ->ㅈ, ㄲ->ㅉ, ㅋ->ㅊ, ㅎ->ㅅ’의 구개음화도 실현된다.
효자->소자, 혀->세
참고문헌
※ 참고문헌

1. 이익섭, 『방언학』, 민음사, 2006
2. 방언학 연구의 방법론
3. 이상규․백두현, 『내일을 위한 방언 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6
4. 이상규, 『국어방언학』,학연사, 2006


※ 참고 인터넷 사이트

1. 국가지식포털 https://www.knowledge.go.kr/


※ 참고논문

1. 김택구(1992). .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