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

 1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1
 2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2
 3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3
 4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4
 5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5
 6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6
 7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7
 8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8
 9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9
 10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최치원의 생애

1) 가계 및 유년시절
① 출생설화
2) 당나라에서의 활동
3) 귀국 후의 활동
4) 은거생활

2. 최치원의 문학사상

1) 저서 ․ 작품
① 계원필경(桂苑筆耕)
② 고운문집(孤雲文集)
③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④ 추야우중(秋夜雨中)
⑤ 향악잡영(鄕樂雜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당나라에서의 활동

당나라에 유학한 지 7년 만인 874년에 18세의 나이로 빈공과(賓貢科)에 합격하였다. 그리고 2년간 낙양(洛陽)을 유랑하면서 시작(詩作)에 몰두하였는데, 그때 지은 작품이 『금체시(今體詩) 5수 1권』, 『오언칠언금체시(五言七言今體詩) 100수 1권』, 『잡시부(雜詩賦) 30수 1권』등이다.
그 뒤 876년 당나라의 선주(宣州) 표수현위(漂水縣尉)가 되었다. 이때 공사간(公私間)에 지은 글들을 추려 모은 것이 『중산복궤집 1부 5권』이다. 그뒤 887년 겨울 표수현위를 사직하고 일시 경제적 곤란을 받게 되었으나, 양양(襄陽) 이위(李蔚)의 문객(門客)이 되었고, 곧 이어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고변(高騈)의 추천으로 관역순관(館驛巡官)이 되었다.
그러나 문명(文名)을 천하에 떨치게 된 것은 879년 황소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변의 종사관이 되어 서기를 맡으면서부터였다. 그뒤 4년간 고변의 군막에서 표(表), 장(狀), 서계(書啓), 격문(檄文) 등을 제작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그 공적으로 879년 승무랑 전중시어사 내공봉(承務郎殿中侍御史內供奉)으로 도통순관(都統巡官)에 승차되었으며, 겸하여 포장으로 비은어대(緋銀魚袋)를 하사받았으며, 이어 882년에는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 받았다. 고변의 종사관으로 있을 때, 공사간에 지은 글이 표, 장, 격, 서, 제문(祭文), 시 등 1만여수에 달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토황소격(討黃巢檄)』은 명문으로 이름이 높다.
그는 당나라에서 벼슬살이를 하던 첫 시기에는 반동적인 통치계급의 입장에 서있었으나 자신의 생활체험을 통하여 점차 관료생활에 환멸을 느끼고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대하기 시작하였다. 사상의 경향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그로 하여금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더욱 짙게 하였으며 그가 16년간의 이국살이를 끝내고 고국에 돌아갈 결심을 품게 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사회과학원․문학연구소, 『조선문학통사1』, 이회문화사, 1996.
정홍교ㆍ박정원, 『조선문학개관Ⅰ』, 한국문화사, 198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4.
박맹호, 『고운 최치원』, 민음사, 1989.
최영성, 『최치원의 사상연구』, 아세아문화사, 1990.
한국일보사, 『한국의 여로―부산』, 한국일보사, 1982.
www.naver.com 네이버 백과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