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

 1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1
 2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2
 3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3
 4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4
 5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5
 6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6
 7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7
 8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8
 9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9
 10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10
 11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악미학] 음악적 모방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모방미학의 이론적 배경
2.1. 고대 그리스 및 로마
2.2. 중세
2.3. 르네상스와 바로크
3. 음악 모방의 대상에 따른 모방이론
3.1. 자연의 모방
3.2. 감정의 모방
3.3. 사회의 모방
4. 맺는 말 : 음악적 모방미학의 의의

본문내용
현대사회에서 예술을 논할 때, ‘모방’이란 말은 사용하기를 꺼리는 단어 중의 하나일 것이다. 현대예술에서는 창조성을 매우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그것과 반대말인 ‘모방’은 거의 예술의 가치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까지 있는 듯 하다. 그래서 ‘모방미학’이 서양예술에서 매우 오랜 기간 동안 가장 중요한 미학원리로써 존재했다는 사실은 놀랍기까지 하다. 그러나 ‘모방’이란 것이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은 이유는 시대마다, 사람마다 모방의 의미나 모방하고자 하는 대상 등을 다르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의 「Aesthetics」에서 ‘모방’은 영어로 ‘imitation’과 ‘representation'의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갖고 있는데, 전자의 의미는 다른 예술가의 제작을 모범으로 하여 그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을 뜻하고, 후자는 인물이나 세계의 사물들이나 장면들을 재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의 「美學體系」항목에서 ‘재현’으로서의 ‘모방’을 다시 두 가지로 분류하는데, 첫 번째는 외적, 객관적인 사물로서의 대상으로 표현하는 것, 즉 재현, 묘사를 의미하고, 이것은 내적, 주관적인 체험을 표현하는 것, 즉 표출에 대립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충실하게 그린다는 것, 즉 사실(寫實)을 의미하고, 이 때에는 이상화 또는 양식화에 대립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한다. 김문환 편, 『미학의 이해』, p.142 이하 참조
이 글에서는 고대와 르네상스를 중심으로 모방미학의 이론적인 배경들을 살펴본 후에, 체계적 관점에서 음악의 모방미학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체계적 관점이라 함은 모방 대상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본다는 것인데, 자연의 모방, 인간의 모방, 사회의 모방으로 분류해보았다. 이러한 구성은 오희숙의 논문 ( 낭만음악 10권, 1998)을 따랐다.
이렇게 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의 나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예술, 특히 음악에 있어서 ‘모방’이란 개념의 실체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문환(편) 『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89
오희숙, “음악적 모방미학에 대한 논의”, 낭만음악, 제10권 제3호, 1998
한독음악학회, 『음악미학텍스트』, 세종출판사, 1998
홍정수 ․ 오희숙, 『음악미학』, 음악세계, 2003
홍정수 ․ 김미옥 ․ 오희숙, 『두길서양음악사』,나남 1997
B. Kiralyfalvi(김태정 역), 『루카치 미학 연구』 이론과 실천, 1984
C. Dahlhaus(조영주 ․ 주동률 역) 『음악미학』, 이론과 실천, 1987
E. Fubini, The history of music aesthetics, London: Macmillan, 1990
W. Tatarkiewicz(손효주 역), 『미학의 기본개념사』, 미술문화,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