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1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
 2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2
 3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3
 4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4
 5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5
 6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6
 7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7
 8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8
 9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9
 10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0
 11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1
 12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2
 13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3
 14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4
 15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5
 16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6
 17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7
 18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8
 19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19
 20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1. 문예지와 순문학운동
2. 근대적 문학운동의 문단적 의미
3. 창조파의 문장
4. 3 ․ 1 운동의 영향
5. 문예사조의 혼란
6. 자연의 예찬
7. 신시의 등장

제 3장 퇴폐의 문학

1. 퇴폐환경과 문학
2. 외래의 데카당 사상
3. 러시아 근대 작가의 영향
4. 현실과 도피
5. ≪폐허≫의 주변
6. 그 뒤의 퇴폐문학(頹廢文學)
본문내용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1. 문예지와 순문학운동

1) 근대 문예사조의 등장

신문학사 위에 ‘언제부터 근대 문예사조가 등장했는가?’ 라고 물으면 그것이 좀 더 뚜렷한 모양으로서 사조적인 주류가 된 것은 1920년대라고 할 것이지만, 그러나 그것이 처음 선을 보이면서 등장한 것은 그것에 앞서서 1919년의《창조》지의 동인시대라고 지적할 수 있다. 그 전에도 《소년》지 이래 몇 가지 월간지들이 나온 일이 있고, 《태서 문예 신보》 같은 문예주간지가 나온 특례도 있지만, 순문예지의 이름으로 월간지가 나온 것은 《창조》 지가 첫 케이스였다.


소년 (1908) → 청춘 (1914) → 유심 (1918) → 태서문예신보(1918)


이 《창조》잡지는 1919년 2월 일본 동경에서 발간된 것으로서 당시 일본에 유학중이던 김동인 ․ 주요한 ․ 전영택 ․ 김환 등의 젊은 문학 동호인들에 의하여 생겨난 것이다. 그들은 선진해 있는 일본의 신문학운동에 큰 자극을 받고 국내의 뒤늦은 문학운동에 감상적인 비판을 하면서 《창조》를 발간하는 뜻을 젊은 의욕에 넘쳐서 말하였다.
이 문예지와 함께 새로운 문학운동의 가치가 올라가고 문학사상에 하나의 구획이 그어지게 되었다. 즉, 여기서 앞에 온 육당이나 춘원의 기성문학에 대하여 반기를 들어, 극히 소박하나마 일종의 리얼리즘 같은 근대 문예사조나 그 작품을 의식하게 된 사실이다. 실제로 그 뒤에 온 자연주의적인 리얼리즘은 이 창조파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 20년대의 우리 시단의 주조를 이룬 상징주의도 이 《창조》지에서 싹트고 있었다고 볼 때 1919년의 《창조》지의 등장은 우리 근대적인 신문학운동의 위치로서 크게 보아야 할 뜻이 걸려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창조파는 우리 신문학운동의 제1기인 육당, 춘원 시대를 뒤이어 제2기로 들어선 것이며, 여기서 처음으로 근대문학사조를 받아들여 더 근대적인 신문학운동의 출발을 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99,
윤병노, 『한국 근ㆍ현대 문학사』, 명문당, 2000.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민음사, 2002.
장석주,『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1』, 시공사, 2000
감태준,「근대시 전개의 세 흐름」,『한국현대문학사』,현대문학, 2002.
신동욱,『한국현대문학사』,집문당, 2004,
가람기획 편집부,『한국현대문학 작은사전』,가람기획, 2000.
강우식,『한국 상징주의시 연구』문학아카데미,1999
조영복,『1920년대 초기 시의 이념과 미학』,소명출판, 2004,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시공사, 2000.
황도경, 「염상섭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작가의식-변모과정의 탐색을 위한 시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박헌호,「한국근대 소설사에서 단편양식의 위상」,『민족문학사연구』16호, 소명, 2000.
김민희,「염상섭 문학비평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2
장사선,「한국 근대비평에서의 리얼리즘론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