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

 1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
 2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2
 3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3
 4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4
 5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5
 6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6
 7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7
 8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8
 9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9
 10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0
 11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1
 12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2
 13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3
 14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4
 15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5
 16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6
 17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7
 18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8
 19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행정] 학교 운영 위원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자녀 교육을 위한 부모님들의 노력 공동체, 학교 운영 위원회”

1. 학교 운영 위원회의 도입 배경

2.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의 의의

3.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4.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과 의무


사례1. 학교운영지원비 책정에 관한 기사.
사례2. 학교에서 신문구독에 관한 학운위 역할.
사례3. 교권침해 문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최근 이슈가 되었던 교사가 학부모에게 무릎꿇은 사건)
사례4. 교권실추 - 촌지 등은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 중요.
사례5. 교사와 학부모, 왜 피해자끼리 싸우는가
사례6. (긍정적? 사례)급식도우미부터 학교운영위까지… 아빠들의 바짓바람
사례7. 학교운영위원 선출 곳곳서 '잡음'(전국종합)

★성공적인 학교운영위원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본문내용
“자녀 교육을 위한 부모님들의 노력 공동체, 학교 운영 위원회”

1. 학교 운영 위원회의 도입 배경
해방이후 제5공화국시기까지 강한 국가 주도적 통제구조의 형태를 띠어 온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은 1987년 민주화 선언과 제6공화국의 탄생을 계기로 점차 민주적 통제구조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교사들의 교육민주화 운동과 학부모 단체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약 30 여 년만에 다시 지방교육자치제가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이 시기야말로 민주적 학교교육 통제구조로의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일어난 학교교육 통제구조의 변화로는,
첫째, 중앙집권에서 지방분권으로의 권한 배분방식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지방교육자치제의 실시를 계기로 가능하게 된 민주적 체제하에서는 국가가 지니고 있던 학교교육에 대한 권한을 시․도교육청과 단위학교에 이양함으로써 교육행정의 분권화가 시작되었다.
둘째는 권위적․강압적 통제에서 민주적․자율적 통제유형으로의 변화이다.
특히 1996년부터 국가,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주민들이 다함께 참여할 수 있는 학교운영위원회의 탄생을 계기로,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학교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다.
셋째는 폐쇄에서 개방적 참여유형으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997년 11월 18일 열린 제185회 정기국회를 통해 의결된 초․중등교육법 제31조로 근거법을 바꾸게 된다. 제31조 1항에 따르면, 학교운영의 자율성을 높이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국․공립의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2.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의 의의
▷ 지방교육자치 : 교육행정의 가장 기초단위인 단위학교의 자율권 부여, 개별학교의 특성에 맞는 학교를 운영하도록 하는데 있음. → 단위학교 차원의 교육자치기구
①학교운영 과정 공개 → 교육운영의 투명성 기여
②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 → 교육의 민주화 도모
③교육수요자 및 지역사회의 요구 반영 →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의식 고취
④학교교육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의 제도적 장착 → 교육에 대한 책무성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