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

 1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
 2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2
 3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3
 4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4
 5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5
 6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6
 7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7
 8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8
 9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9
 10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0
 11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1
 12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2
 13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3
 14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4
 15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5
 16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6
 17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7
 18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8
 19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19
 20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학]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남한의 언어 정책
2) 북한의 언어 정책
3) 남북한의 언어 차이
4) 남북한 언어 비교

Ⅲ.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북한은 언어를“사회성원들 사이에 사상을 교환하며 한 세대로부터 다음세대에로 역사 문화적 전통과 유산을 전달 보존하는데 쓰이는 중요한 수단이다. 언어가 없이는 사람들 사이에 교제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그 어떤 사상의 표현과 전달, 인식도 이루어 질 수 없다. 인간의 활동은 언어를 떠나서 생각할 수 없으며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상호관계도 언어의 역할을 떠나서 생각 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언어는 인간생활의 힘 있는 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언어를 사상교환의 수단, 혁명·건설의 중요한 무기로 보는 유물론적 언어관, 언어도구관의 관점에 서있다.
따라서 1966년부터 사상적 통일의 수단으로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언어에서 나타나는‘비 혁명적·비문화적’요소를 정리하고 시대의 요구에 맞게 발전시키기 위하여 ‘문화어’라 부르는 표준어정책을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최용기,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김민수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박선우(1989), 민족어 통일방안, 북한의 어학혁명, 백의.
김민수(1992), 민족통일과 남북의 언어 격차, 도산학술논총 제2집, 도산아카데미연구원.
박갑수(1993), 남북한의 언어차이와 그 극복, 자유공론 제319호, 자유총연맹.
고영근(1994), 통일에 대비한 어문정책, 통일시대의 語文問題, 길벗.
박갑수(1994), 남북 맞춤법의 차이와 그 통일 문제, 어문연구 81-82, 한국어문연구회.
김진우 김철앙 편(1995), 통일을 지향하는 언어와 철학, 국제고려학회.
이주행(1996), 남북 언어의 동질성 회복 방안, KBS 한국어연구논문 제44집, 한국방송공사.
김민수(1998), 민족어의 통일문제, 개교5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남북한 언어 통일의 과제와 전망, 강남대학교.
'남한과 북한의 언어.....' - 네이버 지식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