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

 1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1
 2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2
 3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3
 4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4
 5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5
 6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6
 7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7
 8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8
 9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9
 10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10
 11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국어] 시조와 가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시조의 형식과 명칭

2. 시조의 발생시기

3. 시조의 주제와 변화양상

4. 가사의 형식

5. 가사의 발생시기

6. 가사의 역사적 단계와 변화양상

Ⅲ. 결 론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Ⅰ. 서 론

다른 민족의 詩歌도 그러했듯이 우리 시가도 음악과 함께 지어지고 향유되었으며 ,후대로 내려오면서 음악과 분리되어 언어 자체가 지닌 음악성인 율격을 갖춤으로서 가창하는 시에서 읊는 시로 바뀌었고, 현대에 와서는 눈으로 보는 시로 변했다. 원래 한국시가는 한마디를 이루는 음보에 따른 음절의 수효가 비교적 자유로우면서도 한 줄이 네 마디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全史的으로 본다면 고대시가는 한국어로 쓰여져지지 않았기 때문에 율격을 짐작하기 어렵고 향가도 외형적인 구분은 가능하나 역시 율격을 알기가 힘들다. 또한 고려가요는 한 행이 세 마디로 된 것이 더러 보이지만 대부분은 율격의 규칙성이 보이지 않고 결국 후대의 시조나 가사에 이르러 두 마디씩 짝을 이루면서 한 행이 네 마디로 이루어지는 율격의 규칙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시조와 가사는 朝鮮時代를 대표하는 시가문학으로서 이 둘의 발생시기는 비록 고려말이지만 활발하게 창작되고 향유된 시기는 조선시대이므로 시조와 가사의 전개 양상이 조선시대의 시가문학사적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시조는 3장 45자 안팎의 짤막하면서도 균형을 갖춘 정형성를 뛰기 때문에 간결하고 압축된 단형형식이다. 그 반면 가사는 두 마디씩 짝을 이루면서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는 장형이라는 점에서 두 장르가 변별된다. 그리고 부연하자면 시조나 가사와 더불어 한축을 이루는 것으로 악장이 있었는데 이것은 매우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동질성을 찾기 어렵고 다만 조선 건국초기에 건국과 왕실의 안녕을 비는 내용으로의 공통점은 있지만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송축의 의미가 사라지자 더 이상 창작되어지지 않았다.

Ⅱ. 본 론

1. 시조의 형식과 명칭

시조는 조선조 오백 년 동안에 집중적으로 창작되고 또 향유되었던 문학이다. 그러나 시조는 조선시대로 끝나지 않고 현재에도 그 창작이 지속되고 있다. 그래서 조선조 때 시조를 가리켜 ‘古時調’라 하여 근대 이후의 시조와 구별하기도 하지만, 고시조나 근․현대의 시조나 그 형식은 다르지 않다. 따라서 시조의 형식은 시조를 시조답게 설명해 주는 가장 확실한 특징이 된다.
시조의 형식은 전체가 초․중․종장의 3장으로 되어 있으며, 각 장은 3-4자 정도로 된 네 개의 단어 또는 語節로 되어 있는데 이 말 덩어리를 마디 또는 토막 혹은 음보 등이라 부른다. 따라서 시조의 한 장은 대체로 15자 안팎이 되며, 작품 한 편은 대체로 45자 안팎이 되지만, 이런 형식을 글자 수로 엄격하게 제한하는 규칙은 없었기 때문에 글자 수에 변화가 많은 것도 형식적인 특징이 된다. 다만, 종장의 첫째 마디는 반드시 3자로, 종장의 둘째 마디는 대체로 5자가 넘도록 표현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런데 시조의 형식을 설명할 때, 두 개의 마디가 합쳐야 뜻이 있는 말이 된다는 관점에서 이를 ‘구’라 하여 시조를 가리켜 3장 6구의 형식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이상의 형식적 전형은 ‘평시조’를 가리킨 것이고, 이와는 달리 그 변형이라 할 수 있는 ‘사설시조’는 형식에 다소 차이가 있다. 사설시조도 전체에서 초․중․종의 3장으로 되어 있는 것은 같으나, 종장의 첫째 마디가 3자를 지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느 장의 어느 마디든지 마음껏 길어질 수 있으며, 그 길이에 제한이 없듯이 정해진 통일성도 없어서 작품에 따라 그 길이가 매우 다양하다는 점이 사설시조의 형식적 특징이다.
시조라는 명칭은 ‘時節歌調’에서 나온 것으로, ‘시절가’란 ‘이 시절의 노래’라는 뜻이 들어 있는 말이며 여기에 곡조를 뜻하는 ‘조’가 붙은 것이다. 그런가 하면, ‘옛 가락’ 또는 ‘본디의 가락’이라는 뜻을 가진 ‘고조’에 상대되는 개념을 지닌 말로 이해되기도 한다. 時調를 가리켜 ‘단가’라고도 하는데 이는 노래의 길이가 짧은 데서 연유한 것이겠지만, 판소리의 虛頭歌도 단가라고 부르는 까닭에 시조의 명칭으로는 별반 사용하지 않는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